이 부총리 "적정 난이도 확보되도록 출제기법 고도화하겠다"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국민의힘과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없애기로 했다. 지난 정부에서 폐지하기로 한 자율형사립고등학교 등은 존치한다.
국민의힘과 교육부는 19일 국회에서 실무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태규 국민의힘 교육위원회 간사는 협의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지난 정부에서 방치한 사교육 문제, 학원만 배 불리는 상황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논란이 된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킬러문항은 사교육을 부추기는 근본 원인이라 출제 배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들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EBS 활용 지원을 강화하고, 교육격차가 완화될 수 있도록 방과 후 과정에 대한 자율 수강권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사고 폐지 등에 대해서는 “자사고, 외고, 국제고를 존치해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맞춤교육을 실시한다”며 “지역의 자율적인 교육 혁신을 통한 교육역량 강화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킬러문항은 시험 변별도를 높이는 쉬운 방법이나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공정 수능이 되도록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출제기법을 고도화해 출제진이 충실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점검을 하는 등 모든 가능한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 관련 발언에 대해선 “대통령이 일찍 지적했는데 교육부가 관성적으로 대응하면서 근본적인 해법을 내놓지 못했던 것 같다. 교육부의 책임이자 수장인 제 책임이고 국민께 송구스럽다”며 사과했다.
앞서 지난 15일 이 부총리는 윤 대통령이 “수능과 관련해 변별력은 갖추되 학교 수업만 열심히 따라가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출제하고 그 외 내용은 출제에서 배제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수능을 5개월 가량 앞둔 시점에서 대통령의 수능 관련 발언이 나오면서 교육계가 혼란에 휩싸이는 등 파장이 커졌다. 대통령실은 지난 18일 윤 대통령의 “공교육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는 수능에서 배제하라”는 지시가 이 부총리의 브리핑에서 ‘학교수업’으로 잘못 전달돼 혼란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달 중 공교육 경쟁력 강화 방안과 사교육 대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 ‘2024학년도 포항 대학 진학박람회’ 성황…수험생·학부모 큰 호응
- [포토] 6월 수능 모의평가 실시... 시험 준비하는 수험생들
- [포토] 6월 수능 모의평가 준비하는 수험생들
- '학폭 논란' 정순신 아들 수능 2점 감점… 이게 최대 감점?
- [포토] 전국연합학력평가 실시하는 광남고
- [포토] 올해 첫 고교 전국연합학력평가 실시
-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사임… "수험생·학부모님께 죄송"
- 피해자는 피눈물 흘리는데… 대한변협 권경애에 '정직 1년' 솜방망이 징계
- 해수욕장 '얌체 알박기' 사라진다…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 대통령이 분노한 '킬러문항'… 일타강사 연봉 100억 만들었나
- 국민의힘 35%, 민주당 25%… 2030 '국힘'으로 이동 [NBS]
- 서민가구, 식비·주거비보다 자녀 학원비 지출 더 많아
- 내일 '킬러문항' 구체적 사례 공개한다… 3년치 수능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