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분기 4분위 가구와 3분위 가구의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은 각각 84만9000원, 63만6000원으로 식비나 주거비보다 많았다. 사진=서울와이어 DB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분기 4분위 가구와 3분위 가구의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은 각각 84만9000원, 63만6000원으로 식비나 주거비보다 많았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고소득 가정이 중·고등학교 자녀 학원비로 한 달 평균 114만원가량을 지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민 가구는 식비나 주거비보다 자녀 학원비에 쓴 돈이 더 많았다.

25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분기 5분위 가구(가계 소득 상위 20%) 중 만 13∼18세 자녀가 있는 가구가 학원·보습 교육을 위해 월평균 지출한 금액은 114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지출 653만원의 17.5%에 달하는 금액이다.

해당 기간 이들 가구의 월평균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 지출은 63만6000원, 주거·수도·광열비 지출은 53만9000원이었다. 가족 전체 한 달 밥값과 주거비를 합한 만큼의 돈을 자녀 학원비로 썼다.

4분위 가구와 3분위 가구의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은 각각 84만9000원, 63만6000원으로 식비나 주거비보다 많았다.

전체 소비에서 의·식·주 지출 비중이 높은 서민 가구 또한 학원비에 더 많은 돈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1분위 가구 중 자녀가 사교육을 받은 가구의 1분기 월평균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은 48만2000원이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 48만 1000원이나 주거비 지출 35만6000원보다 많았다. 

2분위 가구의 학원비 지출은 51만5000원이었다. 식료품비로는 46만5000원, 주거비로는 41만7000원을 썼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