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가입자 4명중 1명은 중도 해지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방지 위한 추가 논의

[서울와이어 최찬우 기자] 출시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한때 가입자가 289만명에 달했던 청년희망적금의 해지자가 7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의 저축 사정이 나빠지며 4명중 1명꼴로 적금을 해지한 것이다.
현 정부가 최근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로 내놓은 '청년도약계좌' 역시 같은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해당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5546명에 달했으나 지난달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4878명으로 23.7%가 이탈 했다.
청년희망적금은 문재인정부 당시 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해 출범한 정책 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최대 50만원 한도로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을 포함해 연 10%의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청년희망적금의 중도 해지율을 분기별로 살표보면 ▲2022년 3월 1.8%(5만2907명) ▲2022년 6월 6.7%(19만5290명) ▲2022년 9월 11.4%(32만9547명) ▲2022년 12월 16.6%(48만2018명) ▲2023년 3월 21.1%(61만1005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만 19세의 해지율이 27.9%(4707명)로 가장 높았으며 만 34세가 21.2%(2만6733명)으로 해지율이 가장 낮았다. 납입액과 마찬가지로 나이가 많을수록 해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납입 금액대별로 보면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9만4806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9만3725명),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8만2453명) 등의 순으로 나타나 납입액이 적을수록 해지율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납입 한도인 50만원 이상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은 14.8%(21만7637명)에 그쳤다.
성별로는 남성의 해지율이 26.9%(30만3754명)로 여성 21.6%(38만1124명)보다 높았다.
중도 해지율이 상승한 원인은 고물가·고금리에 따라 청년층의 저축 여력이 줄어들며 중도 해약자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불어 최대 36만원의 정부 지원금이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되는 구조라 이자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측면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 청년은 지난 15일 출시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 중복 가입이 불가능한 청년희망적금을 중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청년희망적금의 중도 해지가 늘어난다는 것은 청년층의 자산 형성 지원이라는 정책 목표 달성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 아래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 방지 방안 마련을 고민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만기가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보다 3년가량 길지만 적금 유지율 목표는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며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해 연구 용역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급하게 목돈이 필요한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지 않고도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적금담보부대출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일정 기간 이상 유지한 가입자에게는 대학생·청년 대상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 유스' 이용시 우대금리 적용, 신용평가시 가점 등의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로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금융상품이다. 이 상품은 청년이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내면 정부가 월 최대 2만4000원을 지원한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5년을 채운 청년은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까지 받아 5000만원 안팎의 목돈을 만들수 있다.
- 청년도약계좌 6일간 55만명 신청… "5부제 해제, 가입 급증"
- 김소영 부위원장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노력, 사회공헌 공시에 반영 검토"
- 청년도약계좌 오늘 출시…연 6%대 금리로 최대 5천만원 목돈 마련
- 올해 증시 랠리서 네이버·카카오만 왕따… 개미들 '속앓이'
- [메타센서] 제값 준 사람만 바보?… 1년 안된 삼성 갤Z4 90만원대로 '뚝'
- 윤 대통령 첫 개각… 통일장관 김영호·문체차관 장미란 지명
- [메타센서] '회장은 아니나 총수?' 쿠팡 김범석, 동일인 혼선 여전
- [메타센서] 무역적자 탈출에 기대감 고조… '수출 플러스' 지속 가능할까
- [메타센서] 과열 우려속 또 급등한 에코프로… 정말 100만원 뚫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