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음료·식품에 널리 쓰이는 설탕 대체품
안전성 논쟁에 관련 업계 "근거 없다" 반발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제로슈거 열풍이 식품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설탕을 대체하는 인공 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을 세계보건기구(WHO)가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 등에 따르면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다음 달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을 ‘사람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2B군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다.
IARC는 화학물질 등 여러 환경 요소의 인체 암 유발 여부와 정도를 5개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아스파탐이 분류된 2B군은 인체 관련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다.
설탕의 200배 단맛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아스파탐은 1965년 발견됐으나 최근 설탕의 대안으로 더 주목받고 있다. ‘제로’가 붙은 무설탕 음료, 무설탕 캔디와 껌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간 WHO 산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을 일일 제한량 이내로 섭취하면 안전하다고 설명해왔다. 몸무게 60㎏의 성인은 하루에 12~36캔의 제로 탄산음료를 마셔야 위험하다는 식이었다.
식품업계는 즉각 반발했다. 코카콜라 계열사 등이 회원사로 소속된 국제감미료협회(ISA)의 프랜시스 헌트-우드 사무총장은 “IARC는 식품 안전 기관이 아니며 이번 검토는 과학적으로 불신받는 연구에 크게 의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음료협회 전무이사 케이트 로트먼도 “설탕을 불필요하게 더 많이 섭취하도록 소비자들을 오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유진투자증권, ‘조기상환형 스텝다운 ELS’ 공모
- '쇼미더머니·고등래퍼' 출신 래퍼 상습 대마초 혐의로 입건
- 하나은행, 마이데이터 서비스 '하나 합' 은행권 최초 ISMS-P 인증 획득
- 러시아 국민 74%, 우크라전쟁서 핵무기 사용 반대
- 에어부산, 치즈 떡볶이 등 신규 'K-푸드 기내식' 출시
- 미래에셋자산운용, 미성년 자녀 위한 ‘우리아이 TDF’ 출시
- 법정 심의기간 넘긴 '최저임금'… 결국 1만원선 결정되나
- 일본 여행객 2.7배 늘어… 엔화 환율 하락과 '반비례'
- 정부 비축 소금 400톤 풀었더니… 5시간만에 모두 품절
- '발암물질' 논란 아스파탐, 음료·주류업계 직격… 대체 가능할까
- 아스파탐·일본 오염수 '과도한 공포'에 식품·주류업계 전전긍긍
- 중국산 김치 88%에 '아스파탐' 범벅… 국내산은?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