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총재가 기자간담회에 참석 발언을 하고있다.
이창용 총재가 기자간담회에 참석 발언을 하고있다.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가계부채가 예상 밖으로 늘어날 경우 금리 등을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은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위해 자금 흐름의 물꼬를 트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중장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여나가는 거시적 대응 등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는 중장기적으로 GDP 대비 80%까지 내려가는 것이 좋다"며 "금리 정책이 필요하면 하겠지만 금리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총재는 작년에 비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낮아진 상태로, 최근 가계부채 증가가 과도하다고 보기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은 금융통화위원 전원의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이 총재는 이번 금리 인상기 최종금리 수준과 관련해 "금융통화위원 6명 모두 3.75%(로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지 9월까지 지켜봐야 하고, 우리나라의 근원물가 상승률도 아직 높다. 또 가계부채의 증가 문제도 거론됐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 요인이 사라진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당장은 아니지만 금리 격차, 외환시장 불안 등 금리 올릴 수 있는 가능은 있다"며 "금리 인상 근거가 사라졌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올해 물가는 연말까지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했고, 내년에는 물가가 2%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률은 올해 1.4%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상반기 성장이 예상을 소폭 상회한 반면 하반기에는 중국의 더딘 회복으로 경로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최근의 새마을금고 사태에 대해서는 예전과 달리 여러 규제가 작동, 증권사나 상호저축, 새마을금고 등 특정 금융섹터 전체가 다 위기에 몰린 상황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명목 GDP 기준 순위 하락과 관련해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우리나라 순위가 13위로 떨어진 것은 환율 변화에 기인한 단기적 순위 변화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선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중장기적으로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조정을 미뤄서 경쟁력이 둔화되고 성장률이 낮아져 경제 순위가 떨어지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하철 요금 등 공공요금과 전기·가스 요금 인상은 연초 물가 예측에 어느 정도 포함됐다고 말했다. 다만 추가 요금 인상이 있을 경우 물가 전망도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