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연합뉴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8월 15일 패전일(한국의 광복절)에 일제의 가해와 반성을 언급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진 일본인이 절반가량에 달하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30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공익재단법인 일본여론조사회는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24일까지 '평화'와 관련해 일본인 유권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서 유효 응답자 1758명 중 49%가 '기시다 총리가 올해 패전일 추도식에서 가해와 반성을 언급해야 한다'고 답했다. 가해와 반성을 언급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은 46%였다.

일본여론조사회는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가 패전일 추도식에서 일제의 가해와 관련해 사죄한 바 있으나, 2013년 이후 추도식에서는 아베 신조·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와 기시다 총리가 가해와 반성을 말하지 않은 점을 설명하고 언급 필요성 여부를 질문했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5월7일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나 자신은 당시 혹독한 환경에서 많은 분이 매우 고통스럽고 슬픈 일을 겪으셨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며 개인 자격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에 대한 유감을 나타냈으나 '반성'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일본의 전쟁 가능성과 관련한 질문에는 응답자 50%가 전쟁할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 49%는 전쟁 가능성이 있다고 답해 일본 국민의 서로 다른 생각이 팽팽히 맞섰다. 

일본이 전쟁하지 않는 국가로 존속하기 위해 필요한 점을 꼽아 달라는 질문에는 응답자 32%가 '평화외교에 힘을 기울인다'를 택해 1위에 올랐다.

이어 '전쟁 포기를 내건 헌법 9조를 지킨다'(28%), '방위력을 증강해 다른 나라로부터 공격받지 않도록 한다'(21%)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