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 CEO 공백 해소될 듯, 사장 인선 절차 곧 마무리
4선 국회의원 출신 김동철 전 바른미래당 의원 유력시
정치인 출신 강력한 리더십 기대… 전문성 부족은 약점

이르면 다음 달 중 차기 한국전력공사(한전) 사장 임명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사장 유력 후보로는 4선 국회의원 출신 김동철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62년 만에 정치인 출신 사장 임명을 앞둔 가운데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교차한다. 사진=한전 제공
이르면 다음 달 중 차기 한국전력공사(한전) 사장 임명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사장 유력 후보로는 4선 국회의원 출신 김동철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62년 만에 정치인 출신 사장 임명을 앞둔 가운데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교차한다. 사진=한전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이르면 다음 달 중 62년 만에 처음으로 정치인 출신이 한국전력공사(한전) 사장 자리에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유력 후보로는 4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동철 바른미래당 의원이 거론된다. 관련 업계에선 사상 첫 정치인 출신 사장 임명을 앞두고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엇갈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200조원대 부채를 안은 한전에 차기 사장 임명이 임박했다. 현재 심각한 재무위기에 빠진 상태로 구원투수 역할을 할 차기 사장이 누가 될지가 가장 큰 관심사다.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조만간 한전 측에 사장 후보를 추천할 계획이다. 단수 후보를 추천할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차기 사장 후보로는 김동철 전 국회의원이 유력시된다.

한전은 이와 관련 이사회와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사장 인선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후 산업부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으로 차기 사장 임명 절차는 최종 완료된다. 

3개월가량 이어진 사장 공백이 해소됨에 따라 한전의 경영 정상화와 재무구조 개선 작업엔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정치인 출신 사장이 산적한 과제를 풀어갈 수 있을지 크게 우려한다. 

지난 6월 말 연결기준 한전의 총부채는 200조원을 넘어섰다. 초유의 위기로 내년 한전채 발행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높다. 이에 사업비, 운영자금 조달에 차질이 생기는 등 전력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상황에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정치인이 사장으로 적합한지에 대해서 뒷말이 무성하다. 

특히 에너지분야 관련 경력이 없다는 점이 김 전 의원에 약점으로 지목된다. 국회에서 한전을 관장하는 상임위원장을 지냈다는 경력 외 관련 분야 경험이 전무하다. 위기를 타개할 역량을 갖춘 것인지에 대한 지적이다. 

반면 한전에 정치인 출신이 사장으로 올 경우 정부 등의 입김에서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실상 정치권이 좌우하는 전기요금 인상 문제와 관련 힘 있는 정치인 출신이 사장으로 오면 최소한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논리다. 

당장 차기 사장으로서 재무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김 전 의원이 사장으로 공식 임명된 후 전기료 인상을 강하게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안팎에서도 그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주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최악의 경영 위기 속 한전 차기 사장에 누가 임명되더라도 부담은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정치권 출신에 가장 큰 약점은 전문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이지만, 한편에선 경영정상화와 구조조정 등의 추진에 있어선 외부인사가 더 낫다는 평가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