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20만~30만원대 한우·과일 세트↑
대형마트선 추석 수산물 선물세트 '불티'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금지에 관한 법률’ 이른바 ‘김영란법’ 명절 선물 가격 상한을 30만원으로 올리자 고가 선물세트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현대백화점은 김영란법 시행령 개정이 논의된 지난달 18일부터 31일까지 추석 선물세트 예약판매 매출이 지난해 추석 전 같은 기간보다 37.8%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금액대별로 보면 20만∼30만원대 선물세트 매출 증가 폭이 71.3%로 가장 컸다. 그 중에서도 ‘한우’ 선물이 가장 높은 88.3%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임시 공휴일 지정 방침이 발표된 지난달 31일 기준 30만원대 이상 고가 한우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해 추석 전 같은 날보다 183.2% 급증했다.
오는 10월2일 임시 공휴일 지정으로 연휴가 길어지면서 장기 여행을 떠나는 대신 고향에 고가의 선물을 보내려는 고객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게 현대백화점 설명이다.
이에 백화점들은 20만∼30만원대 선물세트를 중심으로 물량을 확대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20만~30만원대 선물세트 품목 수를 전년 대비 축산 70%, 청과와 농산은 25%, 수산은 20% 확대했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과일 선물세트에 집중해 20만원 이상 대표 상품을 선보인다.

올해 대형마트에선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에도 추석 수산물 선물세트가 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달 10~31일 수산물 선물세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예약판매 기간 대비 49% 늘었다. 고가인 굴비 제품이 24%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롯데마트도 같은 기간 수산물 선물세트 매출이 35% 뛰었다. 이마트 수산물 선물세트 매출 역시 약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형마트들은 내년 설 선물세트 물량까지 비축해놓은 만큼 이를 적극적으로 알려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유통업체들은 추석 선물세트 예약 판매를 끝내고 본 판매에 돌입한다. 롯데백화점은 오는 8일부터,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은 11일부터 추석 선물세트 본 판매를 시작한다. 대형마트들은 오는 18일까지 예약판매를 이어간 뒤 본 판매에 들어갈 예정이다.
- 현대차,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 출시… 판매가 7600만원
- 메디톡스, 3년 만에 태국 톡신 시장 재진출
- 한국이 만든 탑재체, 미국 달착륙선에 실린다
- HD현대·삼성중공업·한화오션, 가스텍서 미래기술 대거 공개
- 동원F&B, '화학적 재활용 폐플라스틱' 활용 선물세트 선봬
- 탤런트뱅크,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컨설팅 수행기관 선정
- 먹태깡 이어 노가리칩… 저출산에 '어른과자' 인기
- 한화솔루션, 일감몰아주기 소송서 패소… 과징금 229억원 적법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인재 확보로 ‘ABC’ 전략 힘 보탠다
- '최장 12일' 길어진 연휴에 화색 도는 호텔·항공업계
- 써브웨이, 다채로운 매콤한 맛 '스파이시 시리즈' 3종 선봬
- 日 오염수 방류 여파에도…노량진수산시장 카드매출 급증
- 위기의 홈플러스… 계속되는 잡음에 체질개선 어쩌나
-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공식 석상 7년만에 등장...공개활동 본격화?
- 물가부담에도 추석 선물세트 예판 '역대급'… 왜?
- 신세계그룹, CEO들 확 뒤집었다...대표이사 40% 물갈이
- 신세계, '재무통' 한채양·박주형 전면 배치… 신상필벌 인사
-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에 '하이엔드 리빙관' 리뉴얼 오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