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생태계 복원 조기에 마무리 하겠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방문규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취임 일성으로 수출 회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방 장관은 20일, 서면으로 배포한 공식 취임사를 통해 “수출 현장 애로와 목소리를 경청해 적기에 정책 수단에 반영하고, 첨단제품이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그는 술출 지원을 위한 산업부의 역할에 대해 글로벌 인재 유입을 위한 입지·환경·노동 규제 해소를 비롯해 정상 외교를 바탕으로 한 한·미·일 공급망 연대, 중동·아세안·동유럽 등 신시장 개척 등을 꼽았다.
특히 첨단산업의 초격차 전략과 관련해 “민간 창의성을 살리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우리 산업의 압도적 제조역량을 키워야 한다”며 “초격차 기술개발, 국내외 우수인력 확보,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 공급, 세제·금융 등 필요한 지원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최초 D램 개발, CDMA 상용화의 전통을 살려서 산·학·연, 정부, 금융기관 역량을 총 결집하고 친환경·디지털·ESG와 관련 국제적 논의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며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도 “산업부 소관기관뿐 아니라 수출 유관 부처와 관련 지원기관의 모든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방 장관은 원자력발전 생태계 복원 의지도 분명히 했다. 그는 “현실성 있는 에너지 믹스를 재정립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을 조기에 완성하겠다”며 소형모듈원자로(SMR), 탄소포집저장(CCUS), 수소 등과 함께 새로운 에너지 신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탄소중립과 공급 안정성, 경제성을 고려한 에너지 믹스를 추진하겠다”며 “간헐적인 발전원을 감안한 전력계통 보강, 시장 경제에 부합하는 전력시장 운영 등 에너지 인프라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약속했다.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에 대해서는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 취약계층이 어려움에 처하지 않도록 에너지 복지제도도 두텁고, 촘촘하게 운영하겠다”고 했다.
끝으로 당장의 에너지 공급망 위기 등 산적한 현안엔 산업부 전 인원이 뭉쳐 폭넓은 시각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할 것을 당부했다.
- 고분양가 논란 속 수만명 청약자 몰렸다… 후분양 아파트 '완판 행진'
- KG모빌리티, 전기차 '토레스 EVX' 출시… 4750만원부터
- 벤츠 사회공헌위원회, 행안부와 손잡고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 강화
- 롤스로이스男 단골병원, 경찰 압수수색에 CCTV 삭제 정황
- 포스코 임금협상 재개, 현대차처럼 '돈폭탄' 터지나
- 200조 빚더미 한전, 직원에게 주택자금대출 '특혜' 제공
- [K원전 초격차 ①] 원전업계, 정부 지원계획에 '웃음꽃' 만개
- 한전, '요금인상 명분쌓기'....구조조정 '칼바람' 부나
- 방문규 산업장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면담… '민관 파트너십' 강화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