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정감사서 '방만경영' 질타 등 비난 집중될 듯
산업부 장관·한전 사장 주도 '고강도 개혁' 착수 예상
전기요금 인상 요원, 운영 효율화 등 체질 개선 초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김동철 한국전력공사(한전) 사장이 경영정상화를 위한 과감한 구조조정에 나설지 주목된다.
방 장관은 취임 전 인사청문회 당시 “한전의 조속한 경영정상화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여기에 최근 한전의 수장으로 취임한 김동철 사장은 “초유 재무위기의 모든 원인을 외부 탓으로만 돌려선 안 되며, 냉철한 자기반성을 통해 ‘제2의 창사’라는 각오로 새로운 기회의 영역을 선점해 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두 사람의 발언은 한전의 대개혁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누적된 부채와 역마진 구조 수렁에 다시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방 장관과 김 사장은 먼저 한전의 구조조정에 손을 댈 것으로 보인다.
적자난 해소를 위해선 전기요금 정상화가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보이지만, 지금의 상황에선 인상 가능성은 다소 희박해 보인다. 다가오는 내년 총선이 가장 큰 걸림돌로 정부와 여당이 여론을 의식해 요금을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방 장관과 김 사장은 운영 효율화를 통한 적자 해소책에 우선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김 사장은 취임사에서 “비대한 조직을 구조조정하고 사업소 거점화·광역화를 통해 업무 효율과 고객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이라고 대수술을 예고했다.
특히 한전은 그간 최고경영자(CEO) 공백기에 자체적으로 마련한 자구책 이행에 제 속도를 내지 못했다. 이에 올해 국정감사에선 경영정상화 방안이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상반기 기준 200조원 이상의 빚더미에 오른 한전이 직원들을 위해 제공한 사내 대출 특혜가 논란이 되는 등 방만경영에 대한 질타가 쏟아질 가능성이 높다.
전임 사장 시절 발표한 자구책도 노조의 반대 등으로 지지부진한 상황이어서 추가적인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도 힘이 실린다. 김 사장은 이와 관련 사장 부재기간 동안 상임이사 공동 주관으로 운영해온 기존 비상경영위원회를 확대·재편했다.
경영위는 재무위기 대응, 조직·인사 혁신, 신사업·신기술, 미래 전력망, 원전·신재생 등 5개 분과로 구성됐다. 앞으로 각 부문 부사장을 분과장으로 워킹그룹(W/G)을 꾸려 핵심과제 발굴·이행 등 운영 전반을 총괄하게 된다. 개혁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해석된다.
김 사장은 지난 25일 발족된 경영위에서 위원장을 맡았고 이 자리에서 “내부 개혁 없이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자구노력에 더해 특단의 추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고 임직원 모두가 주인의식을 갖고 제2의 창사라는 각오로 혁신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영혁신 활동을 통한 장기적 체질 개선에 집중하겠단 의지를 내비친 셈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그가 경영정상화를 목표로 자구노력 실천에 고삐를 바짝 당길 것으로 내다봤다. 인력 운영 효율화를 비롯한 비주력 자산 매각에도 속도가 붙을지도 관심이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부와 한전에 같은 시기 새로운 수장이 각각 임명됨에 따라 고강도 개혁 작업은 탄력받게 될 것”이라며 “앞서 정부에선 공기업들의 방만경영 행태를 지적한 바 있다. 적자난에 허덕이는 한전에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뒤따를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