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 Korean Train Control System 2)을 적용해 영업운행에 나선 KTX1열차 모습. 사진=현대로템 제공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 Korean Train Control System 2)을 적용해 영업운행에 나선 KTX1열차 모습. 사진=현대로템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로템이 세계 최초로 4세대 무선통신(LTE) 기반의 열차 제어시스템 상용화에 성공했다.

현대로템은 30일 전라선(익산~여수EXPO역, 180km)에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 Korean Train Control System 2)의 첫 영업운행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KTCS-2는 철도전용무선통신망(LTE-R)을 토대로 한 실시간 열차제어시스템이다. 

선행 열차의 위치 정보를 확인해 열차 간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선로 상태를 확인한 뒤 선로를 전환하고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속도 제어와 비상제동을 지원한다. 

KTX와 SRT 등 고속열차 운행에 필수적인 장치다. 현대로템은 이와 관련 2012년 국토교통부의 열차제어시스템표준화 연구개발(R&D) 과제에 참여해 2018년 KTCS-2 국산화를 이끌었다. 

국토부는 이후 전라선을 시범노선으로 선정하고 2020년 12월부터 현재까지 KTCS-2의 검증절차를 진행하 있다. 이 가운데 현대로템은 KTCS-2 상용화를 위한 최종 단계인 영업운행에 돌입했다. 

KTCS-2는 열차의 제한 속도 등 운행 정보를 LTE-R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등 안전하고 효율적인 제어는 물론 열차와 관제실 간 양방향 무선통신도 가능하기 때문에 선행 운행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에 운행 효율성과 열차 수송력을 개선시킬 것이란 기대가 높다. 

실제 국토부에 따르면 KTCS-2가 상용화될 경우 열차 운행 간격은 최대 23%, 열차 수송력은 1.2배 증가한다. 유럽철도 국제표준 안전성 평가 기준에 따라 KTCS-2의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 철도신호시스템 대비 안전성이 약 5.81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무선통신 방식이 아닌 선로에 설치된 발리스(Balise)를 통해서만 열차의 운행 정보를 확인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KTCS-2 상용화를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국내 철도에 적용된 외국산 신호시스템을 KTCS-2로 대체할 경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KTCS-2로 표준화하면 신호시스템의 제약없이 열차를 다양한 노선에 투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당장 현대로템은 2024년 말까지 KTCS-3 차상신호장치의 개발도 완료할 계획이다. KTCS-3는 궤도회로 없이 무선통신만으로 열차 위치와 운행 정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현대로템은 이와 함께 영업운행 실적을 바탕으로 KTCS-2를 전국 노선에 확대해 국내 전체 국가철도망에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해외 신호체계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유럽표준규격을 적용한 KTCS-2는 유럽연합의 열차제어시스템(ETCS) 규격을 충족해 해외시장 수출도 겨냥할 수 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전국 철도 노선에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KTCS-3 차상신호장치 개발에 최선을 다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주목 받는 철도차량 선도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