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발표 지연, 막판협상 진통
하림, 영구채 주식 전환 유예 요구, 불공정논란 불거져
산은·해진공 매각 추진 입장차… 재입찰 가능성도 남아

HMM의 본입찰 이후 우선협상자 발표이 지체되는 상황이다. 최근 본입찰에 참여한 하림그룹이 영구채 전환 유예 등 계약 조건 변경을 요구한 것이 문제가 됐기 때문이다. 사진=HMM 제공
HMM의 본입찰 이후 우선협상자 발표이 지체되는 상황이다. 최근 본입찰에 참여한 하림그룹이 영구채 전환 유예 등 계약 조건 변경을 요구한 것이 문제가 됐기 때문이다. 사진=HMM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최대 국적선사인 HMM의 매각을 위한 본입찰이 진행된지 3주가 지나가고 있으나, 새 주인의 윤곽은 아직도 안갯속이다.

입찰 가격을 더 높게 써낸 하림이 인수 조건을 두고 여러 요구 사항을 제사한 것과 관련 논란이 나오는 등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미뤄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막판으로 접어든 HMM 매각 과정은 하림과 동원의 2파전으로 좁혀졌다. 이 가운데 HMM의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우선협상자 선정을 두고 고심을 지속하는 모습이다. 

본입찰에서 동원그룹보다 더 높은 입착가격을 제시한 하림그룹에서 최근 매도자가 잔여 영구채를 3년간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길 바란다는 요구가 나오면서 매각 절차에 불공정 논란이 나오면서다.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인수 측의 지분율은 57.9%에서 38.9%로 떨어진다. 영구채 주식 전환이 유예될 경우 인수 측의은 지분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3년간 최대 2850억원의 배당금을 챙길 수 있다. 

하림이 최종 인수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이 같은 무리한 요구 사항을 제시한 것과 관련 동원 측은 반발했다. 산은에선 영구채와 관련해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지만, 여러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막판 협상은 난항을 빚고 있다. 

산은 등은 이와 관련해 관계부처 등과 협의를 통해 우선협상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관계 부처는 전날 HMM 매각을 위한 차관 회의를 개최해 신속한 매각에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발표는 지연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HMM 노조 등에선 졸속 매각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기도 했다. 업계에선 우선협상자는 하림이 선정될 것으로 무게를 두지만, 최종 의견 조율 과정에서 유찰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현재 산은과 해진공의 매각 추진에 대한 입장도 극명히 엇갈린다. 산은은 내년 해운업황 전망 등에 따라 조속한 매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해진공은 매각 이후 HMM의 현금성 자산 유출 방지 등에 대한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당장 매각 측이 마련된 협상테이블을 깨고 재입찰에 나서기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운업황 불황의 장기화로 HMM의 실적 타격이 예상되는 등 기업가치 하락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인수전에서 잡음이 지속 새어 나오고 있지만, 향후 업황 불황으로 HMM의 시장 가치가 더 하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각을 미루진 않을 것”이라며 “관계부처와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진 만큼 내주 초쯤엔 새 주인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