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0억원대 순손실, 영업익도 36.9% 줄어
미수금 전년비 3조원 증가, 재무위기 지속
"현재의 요금 수준은 미수금 회수 어려워"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지난해 연간 747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말 기준 가스공사의 미수금은 15조7659억에 달하는 등 위기 극복을 위해선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가스공사는 지난 27일 2023년 회계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4조5560억원, 1조55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의 경우 액화천연가스(LNG) 판매물량 감소와 유가 하락 등에 따라 13.9%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6.9% 감소했다.
순손실 규모는 7000억원을 넘어섰다. 2022년 대비 이자율 상승(2.93%→3.93%) 및 원료비 미수금 증가 등으로 차입금 평균잔액이 증가한 탓이다. 실제 가스공사의 순이자비용만 1조5615억원이다.
전체 연료금 미수금도 16조원에 육박한다. 전년 대비 약 3조원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치다. 실적 악화와 치솟는 미수금 등의 배경으로는 앞서 동결됐던 요금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수금은 천연가스 수입 대금 중 가스요금으로 회수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 그간 가스공사는 외부에서 구매한 가스를 싸게 팔아 적자가 생기면 이를 '미수금 자산'(기타 자산)으로 분류한 이후 요금 인상을 통해 회수해 왔다.
다만 요금이 동결된 상황에 미수금 회수엔 차질이 예상되며, 재정 위기도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진다.
최근 글로벌 에너지가격 안정세가 이어지는 등 최악의 고비는 넘겼다는 평가지만, 실적 개선을 위해선 추가적인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가스공사가 강도 높은 경영 혁신에 나섰음에도 미수금 문제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관련 업계에선 현재의 가스요금 수준으로는 미수금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으며, 총선 이후엔 반드시 요금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내세운 원가주의 원칙은 지켜지지 않았고 요금 인상이 계속 미뤄지면서 미수금 규모를 키운 것”이라며 “재무 위기 해소를 위해선 적정 수준으로 요금 조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