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경영권 방어 등 다양한 이유로 거액 대출 실행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한국 50대 그룹의 오너 일가 주식담보대출금이 1년 만에 3조원 가까이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 일가 주식담보 현황을 지난달 20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총 129명이 실행한 담보대출 총액은 9조9204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7조1065억원 대비 2조8139억원(28.4%) 증가한 금액이다.
홍 관장은 지난해 1조7800억원에서 68% 증가한 2조9900억원을 대출했다. 주식담보 비중도 42.1%에서 79.1%로 상승했다.
이부진 사장의 담보대출 금액은 5800억원에서 1조1040억원으로 90.3% 늘고, 이서현 사장도 5728억원에서 1조728억원으로 87.3% 증가했다.
재계에서는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의 타계 후 천문학적인 상속세 부담에 대출금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영풍그룹은 대출금 증가율에서 두드러졌다. 대출받은 오너 일가 수가 3명에서 18명으로 늘고, 총대출금은 195억원에서 4795억원으로 2359% 급증했다. 고려아연과의 경영권 분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담보비율이 80%를 넘는 그룹은 영풍(85.2%)을 비롯해 태영(100%), 현대백화점(100%), 코오롱(99.1%), 롯데(88.2%), 금호석유화학(80%) 등 6곳이다.
효성, DB, SK 등은 담보대출 규모가 축소됐다. 효성 오너일가 담보대출금은 7582억원에서 1973억원으로 70% 이상 감소했으며, DB는 3930억원에서 2453억원으로 37.6% 줄었다.
SK는 대출자 수가 11명에서 8명으로 줄었고, 총액도 6117억원에서 5842억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전년과 동일한 4895억원 규모의 주식담보대출을 유지하며 개인 기준 4위에 이름을 올렸다.
- DB손보, 미국 보험사 '포르테그라' 인수 추진
- [단독] 삼성·LG전자, 美 특허괴물과 위치추적 기술 소송 '완승'
- 코스피, 3거래일 만에 반등…에너지·2차전지 강세 속 외국인 매도세 부담
- 中 바이두, 생성형AI '어니' 오픈소스로 공개...글로벌 판 뒤집는다
- 삼성물산, 개포우성7차 '최적 공사비'로 조합원 이익 극대화
- 삼성물산 준지, 파리 패션위크서 26SS 컬렉션 공개
- 삼성전자, '슈퍼맨' 개봉 기념 아트 워크 무료 공개
- 최태원 "AI 산업 중국이 큰 위협… 일본과 협력해야"
- [메타센서] 韓 제조업 어떻길래? 최태원 "잃어버린 10년...AI 없으면 퇴출"
- 올상반기 오너 일가 자산 33조 급증… 삼성家 10조 불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