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에 따른 미 현지 생산 증가
전기차 모델 자체 경쟁력도 문제

현대차·기아 한국 본사.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기아 한국 본사. 사진=현대차그룹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현대차·기아의 대미 수출량이 대폭 감소했다. 관세에 의한 미국 현지 생산 증가와 판매 부진 여파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해 1∼5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는 전년 동기(5만9705대)보다 88.0% 급감한 7156대로 집계됐다.

현대차·제네시스는 87.0%가 감소한 3906대, 기아는 89.1% 줄어든 3250대를 미국으로 보냈다.

현대차·기아의 대미 전기차 수출은 1∼5월 기준 2021년 4441대, 2022년 2만8474대, 2023년 4만6542대, 2024년 5만9705대로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올해 역성장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21년 1만9820대, 2022년 6만8923대, 2023년 12만1876대, 2024년 9만2049대 등이었는데 올해는 2만대도 쉽지 않을 정도의 극도의 부진이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전기차 생산 라인을 갖춘 대규모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조성해 현지 생산이 증가했고, 판매 부진도 영향을 미쳤다.

HMGMA는 상반기 동안 ‘아이오닉 5’ 2만8957대, ‘아이오닉 9’ 4187대를 출고했다. 기아도 지난해 전기차 미국 생산을 시작해 올해 ‘EV6’ 7441대, ‘EV9’ 7417대를 생산했다.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자체가 경쟁력이 부진한 것도 이유다.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미국 내 전기차 총판매량은 5.2% 증가했는데, 현대차·기아가 올 상반기 미국에서 판매한 전기차는 4만4555대로 전년 동기보다 28.0% 감소했다.

올 하반기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정부의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가 오는 9월 말로 조기 종료돼 판매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전기차 판매량이 연간 최대 4만5828대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현대차는 올해 들어 전기차를 담당하는 울산 1공장만 수출 및 판매 부진으로 5번 휴업했다”며 “전기차 경쟁력 회복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