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문제 없으나 침체 불가피… 국내 기업 대응 '제한적'
정부·기업 공동대응해야… 주 정부·지역구 의원 공략 필요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한국 신재생에너지기업들의 미국 사업 전망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안갯속에 빠졌다. 구체적인 피해가 나오기 전에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미국 주 정부나 지역구 의원 등을 설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4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태양광·풍력발전이 사기라고 비난하며 신규 승인을 하지 않겠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재생에너지기업들은 정상적으로 진행하던 사업 프로젝트에 대해 앞으로 허가를 받을 수 있을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한화큐셀이나 OCI홀딩스 등 한국 기업도 미국 시장에 진출해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후속 조치를 예의주시한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발표 후 당장 취소된 프로젝트는 다행히 없다"며 "하지만 미국 기업들은 미국태양광산업협회가 반발 성명 등을 내고 대변하는 목소리가 있는데 한국 기업들은 단체 행동을 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미 투자한 사업에서 철수하는 것은 어렵지만 가동률이 떨어질 수 있고 인력 구조조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기업이 투자한 주의 공화당 의원들은 이런 상황에 대해 부정적일 수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 내 영향력이 강해 행정명령을 무시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협회와 정부 등도 힘을 모아 삼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시간으로 핫라인을 구축하고 협의체를 만들어 대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국내 기업의 수출 등에 영향이 가면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지는 상시 준비해야 하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여러 부서에 관련된 사안이라 서로 검토하고 협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미 대응을 하면 주 정부나 각 지역의 연방 하원의원들에게 접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공화당 의원들도 내년에 중간선거가 있어 트럼프 대통령을 온전히 따르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미국 민주당이 집권하는 주는 연방정부 명령을 따르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연방정부의 행정명령을 주정부가 반드시 따라야 할 의무는 없어서 트럼프 대통령이 강제하는 수위가 높아지면 주정부 차원에서 소송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강구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장은 "중간 선거를 노리는 지역 의원들에게 한국 재생에너지 기업들이 미국에 기여하는 부분을 잘 강조해야 한다"며 "주 정부 차원에서 고용이나 경제성장 효과 등을 인식하고 연방정부와 결이 다르게 기업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 트럼프 "풍력·태양광 시대 끝났다" 발언에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폭락
- 트럼프 "태양광·풍력 발전 프로젝트 승인하지 않겠다"
- OCI홀딩스, 미국 ESS 연계 프로젝트 전망 '맑음'
- 한화큐셀, 기후산업국제박람회서 '재생에너지 솔루션' 소개
- 미 재생에너지 세액공제 폐지 위기… 한국 기업 긴장
- 태양광산업협회, 미 태양광 전시회 참가… 한국 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 SK이터닉스-글로벌비전, '탄소중립 팝업북' 제작 봉사활동 전개
- 태양광업계, 환경부와 애로사항·미래 청사진 공유
- 한화큐셀, S&P글로벌 1등급 클린테크 기업 선정
- 한화큐셀, 'APEC CEO 서밋'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