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통합솔루션을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회사 홈페이지
SK에코플랜트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통합솔루션을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회사 홈페이지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SK에코플랜트와 SK텔레콤은 아마존 웹 서비스(AWS), 울산광역시와 함께 'SK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울산'의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AI 연산을 위해 고전력, 냉각, 네트워크 역량을 갖춘 데이터센터다. 대규모 전력을 소비하는 고성능 서버를 운용하기 때문에 냉각 용량이 일반 데이터센터의 4~10배 이상인 서버랙 당 40~100킬로와트(KW)의 용량이 필요하다. 서버랙은 데이터 센터에서 여러 대의 서버 장비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프레임이다. 

SK에코플랜트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의 인프라 구축을 맡았다. 체계적인 사전검토를 위해 ▲최적 공법 제안 ▲핵심 설비 시공 전략 수립 ▲사전 인프라 구축 ▲전력·공조·통신 안정성 확보 ▲냉각시스템 효율화 등을 진행했다.

SK텔레콤은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을 통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의 핵심 거점을 확보하고 전국적인 AI 인프라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는 AI 데이터센터, GPUaaS, 에지 AI(Edge AI)의 3가지 축을 중심으로 전국의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전략이다.

GPUaaS는 기업이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를 통해 빌려 쓰는 구독형 모델이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은 "지역 산업의 혁신을 이끌 구심점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도약할 기회"라며 "신산업 생태계 조성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형근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은 "SK에코플랜트는 반도체, AI 관련 인프라 구축에서 경쟁력이 있다"며 "SK그룹의 미래 성장 전략 실현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