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유코발트, 투자수익·규제대응·고객확보 등 이득
한중합작 지속해 상생 도모… "다방면의 파트너십"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미국의 대중국 견제 움직임에도 한·중 양국 기업이 허용 범위를 찾아 상호 협조를 이어간다. 규제 리스크에 대응해 사업을 재편하면서 공급선을 다변화하는 등 추가적인 이익을 창출한다. 

10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일본 토요타그룹의 종합상사 토요타통상이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LG-HY BCM)의 지분 25%를 매입해 2대 주주로 합류했다. LG화학이 51%의 지분을 보유한 가운데 기존 주주인 중국 화유코발트의 지분 비율은 49%에서 24%로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중국 기업의 비중 감소가 LG화학의 원료 조달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한다. 화유코발트는 2022년 49%의 지분을 확보하며 ▲핵심 금속 소재의 안정적인 공급 보장 ▲LG화학과 합작한 중국 취저우 법인을 통한 구미 합작법인에 필요한 전구체 공급을 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지분을 판매한 주체는 LG화학이 아닌 화유코발트로, 이 과정에서 3자 협의가 있었다"며 "양사는 구미 공장 외에도 다방면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지분 구조 조정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최근 중국 매체 이차이는 화유코발트는 지분을 1억2100만달러에 양도하며 약 6620만달러의 투자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화유코발트는 ▲미국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과 유럽연합(EU)의 핵심원료법(CRMA) 규제 준수를 통한 불이익 방지 ▲미국 양극재 시장 제품 경쟁력 강화 등을 지분 양도의 이유로 들었다.

중국 언론 시대재경(时代财经)은 LG화학 발표를 인용해 토요타통상이 원자재 조달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며 북미 배터리 고객에게 양극재를 공급한다고 지난 9일 보도했다. 일본 기업이 지분 축소 과정에서 합류해 시장 다변화가 이뤄졌기 때문에 화유코발트는 LG화학을 상대로 공급가를 높이지 않아도 이득이라는 분석이다. 

LG화학과 화유코발트의 협력은 더 강화될 전망이다. LG화학과 화유그룹은 2023년 ▲모로코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공장 및 리튬 컨버전 플랜트(CP) 건설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 공장 및 전구체 공장 설립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LG화학 관계자는 "캐즘(수요 증가 둔화) 등으로 고객사들과 일정을 변동하고 있지만 구미공장 지분 축소는 전혀 다른 이야기"라며 "중국 물량은 중국 내수용 또는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에 수출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조성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 기업이 더 많은 지분을 보유할 수 있는데 미국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지분율을 낮추는 계약을 감수하고 들어온 것"이라며 "한국은 글로벌 이미지가 좋고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도 많아 중국 기업이 한국 기업의 시장 접근성과 소프트 파워를 이용하기 좋고, 반대로 한국 기업도 중국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