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행정·재판지연에 한국 찾아… "배·보상 부족해"
회사 측 "공탁금 납부·지원금 지급… 지원 확대할 것"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연 기자회견에서 LG화학 가스누출 사고 피해자들이 LG화학에 책임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연 기자회견에서 LG화학 가스누출 사고 피해자들이 LG화학에 책임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LG화학 인도법인 가스 누출 사고의 피해자들이 인도 현지 행정·사법 절차의 지연으로 구제가 늦어지자 배상과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한국을 찾았다.

환경시민보건센터는 23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앞에서 피해자들과 함께 피켓팅과 전단배포를 했다고 밝혔다. 오는 25일에는 오전 10시 LG화학을 항의방문한 후 오후 2시 경찰청을 방문해 형사고발을 할 계획이다.

인도 국가재난대응군(NDRF)에 따르면 2020년 5월 안드라프라데시주에 위치한 LG 인도법인 LG폴리머스의 탱크에서 화학가스 스티렌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사망 15명 ▲병원 치료 1000명 ▲건강문제 2000명 등 피해가 발생했다. 

LG화학은 사고 발생 후 인도환경재판소(NGT)와 고등법원(APHC)에 피소됐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지난해 LG화학 최고경영진과 함께 인도에 방문해 찬드 라바부 나이두(Chandrababu Naidu) AP주총리와 공장 인근 주민들을 만나 "재판 결과가 나오기 전이라도 현지 주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인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사고 발생 후 5년이 지났지만 아직 보상을 받지 못한 피해자가 많다. 인도 현지 언론 더뉴인디안익스프레스(The New Indian Express)는 ▲은행 정보 불일치 ▲계좌 입금 오류 ▲보상 명단 누락 등이 발생했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 정부의 피해자 확인 과정이 늦어지는 와중에 재판 장기화도 사태 악화에 일조했다. 환경시민보건센터 측은 5년간 겨우 7번의 공판이 열렸다며 최종 판결이 언제 나올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현지 사법 절차로 해결이 가능했으면 피해자들이 한국에 올 필요가 없었다"며 "LG화학은 판결이 나오기 전에라도 1차로 빠르게 배상과 보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소장은 ▲주민들 개개인에게 10만달러 배상 및 보상 ▲피해자들의 건강 회복을 위한 의료 지원 ▲실업 등 기타 피해에 대한 생활 회복 지원 등을 LG화학에 공문으로 요구했다. 

LG화학 관계자는 "주정부의 선제적 보상 직후 227억원을 공탁했고, 재판 절차와 상관 없이 현지 주민들에게 생활지원금 102억원을 지급했다"며 "중요한 것은 주민들의 회복과 생활 안정이고 지원 활동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병열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현지 행정체계가 미비한 것은 기업도 아는 사실"이라며 "제조업을 하면 환경에 대한 영향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어 기업이 항상 신경써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