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자산운용
사진=삼성자산운용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삼성자산운용의 KODEX ETF가 업계 최초로 순자산 90조원을 돌파했다. 불확실성이 커진 시장 상황에서 특정 테마와 채권형 상품을 중심으로 국내 ETF 시장이 성장한 덕분이란 평가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ETF 순자산이 90조원을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6월 순자산 80조원을 넘어선 이후 79일 만에 10조원 이상 늘어날 정도로 가파른 성장세다.

현재 KODEX가 운용하고 있는 ETF 상품은 총 220개로 ETF 시장 점유율 38.3%을 차지하고 있다. KODEX의 빠른 성장세는 특정군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투자 테마와 전략을 담은 상품들이 고르게 성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시장 조정을 경계하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늘면서 국내채권형 상품과 파킹형 상품으로 자금 유입이 두드러졌다.

특히 KODEX 미국 대표지수 2종의 순자산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KODEX ETF의 80조원 돌파 시점부터 KODEX 미국S&P500은 7351억원, KODEX 미국나스닥100은 5458억원 늘어났다. KODEX 미국 S&P500은 상장 이후 4년 4개월여 만에 순자산 5조원을 돌파해 미국 대표지수 2종의 순자산은 8조원에 달한다.

증시 변동성을 헤지하려는 투자자들의 채권형 상품 매수도 두드러졌다. 6월 순자산 80조원 돌파 이후 KODEX 머니마켓액티브의 순자산은 1조6090억원 성장했다. KODEX CD금리액티브 KODEX CD1년금리플러스 등 파킹형 상품들도 꾸준히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금리 인하 국면에 대비하는 수요에 힘입어 KODEX 26-12회사채AA-이상액티브,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KODEX 장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와 같은 일반 채권형 상품들로도 자금이 몰렸다.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도 1641억원 증가했다. 

월배당 커버드콜 상품의 성장세도 지속됐다. 증시 변동성 확대가 커버드콜 상품의 수요를 가속화하면서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등에도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렸다. 삼성자산운용의 커버드콜 ETF 순자산 규모는 약 4.4조원으로 전체 커버드콜 시장에서 37.6% 시장 점유율을 달성했다.

투자자들의 수요가 확실한 테마형 상품도 좋은 성과를 거뒀다. AI 전력 수요 증가 기대감에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와 KODEX AI전력핵심설비가 큰 폭으로 성장했다. KODEX 2차전지와 2차전지레버리지도 각각 2289억원, 1036억원 늘어나며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또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9.14%의 높은 분배율에 힘입어 순자산이 1249억원 증가했다.

이외에도 7월 상장한 KODEX K방산TOP10과 8월 상장한 KODEX 금융고배당TOP10이 단기간에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삼성자산운용 KODEX는 현재 220개 ETF를 운용 중이며 단일 국가 기준으로는 미국 자산운용사 아이쉐어즈 SPDR 인베스코에 이어 4위에 해당한다.

박명제 삼성자산운용 ETF사업부문장은 "변동성이 큰 시장 환경 속에서 다양한 투자자를 위해 최적의 솔루션을 드릴 수 있는 상품개발에 노력한 결과 KODEX가 국내 최초로 순자산 90조원이란 결실을 맞이했다"며 "앞으로도 단순 상품 상장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투자자들이 상품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