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 기한 남은 상태에서 7월 거래량 추월
성동구, 지난달 매매 신고 건수 전월 '2배'
토허제 구역 거래 주춤… 한강벨트 집값↑
추석·토허제·규제지역 지정 등 2차 분수령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고정빈 기자]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 거래가 다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8월 매매 거래량은 총 4017건으로 7월(3945건)을 넘어섰다. 지난달 거래량은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 남아 있지만 이미 7월 거래량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월에 1만건을 넘어섰다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6·27 대출 규제 이후 7월 거래량이 4000건 미만으로 줄었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다시 거래량이 늘기 시작하면서 지난달 거래량은 7월보다 1000건 정도 많은 5000건 수준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과 대출 규제의 영향이 적은 강북의 거래량이 많이 늘었다.

성동구는 현재까지 지난달 매매 신고 건수가 총 197건으로 7월(102건)의 2배 수준(93.1%)을 기록하며 25개구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성북구(329건)가 전월 대비 67.0% 증가하며 뒤를 이었고 ▲강동구(65.3%) ▲중구(48.6%) ▲마포구(44.2%) ▲동작구(36.6%) ▲광진구(24.6%) 등 한강벨트 위주로 거래량이 급격 히늘어났다.

반면 6억 대출 규제의 타격이 큰 강남 3구와 양천구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4개 구는 8월에도 7월 거래량을 밑돌고 있다. 강남구 거래량은 96건으로 7월(312건)보다 69.2% 줄었고 송파구는 134건으로 7월(366건) 대비 63.3% 감소했다. 서초구와 양천구도 감소세다.

한강벨트의 거래량 증가는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41% 올라 지난주(0.27%)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지난 8월 셋째 주 0.15%에서 마지막 주 0.19%로 오름폭이 커진 뒤 4주 연속 상승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달과 이달 들어 거래가 늘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 6월 거래량 대비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규제 카드를 쓸 가능성이 큰 만큼 다음 달 추석이 집값의 1차 분수령, 이후 토허제나 규제지역 확대 지정이 2차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