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LG화학은 오는 8일부터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유럽 플라스틱 전시회 K2025에 참가한다고 2일 밝혔다. '화학이 이끄는 변화, 세상을 움직이는 힘(Chemistry Driven. Impact Ready)'을 테마로 LG화학의 고부가·친환경 소재 등을 소개한다.
LG화학은 286㎡ 부스에 총 65여종의 주력 제품을 전시하고 주요 산업·기술별 다양한 전시 존(Zone)을 구성한다.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 9개의 전용 회의실과 비즈니스 라운지를 운영한다.
모빌리티존에는 고광택·고내열 고부가합성수지(ASA/ABS)가 적용돼 완성차 기업에 공급되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리어(rear) 램프가 전시된다. 초고중합도 폴리염화비닐(PVC)로 내열성과 유연성이 개선된 전기차(EV) 충전용 케이블, 우수한 절연성과 난연성으로 전기차 배터리팩에 적용되는 열폭주 지연 소재 등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인다.
리빙존에서는 무광소재(ABS)가 적용된 주방 가전제품 등이 전시된다. LG화학이 자체 개발한 무광 ABS는 고온에서의 인장성이 뛰어나고, 냉장고, 식기세척기 등의 내부까지 고급스럽고 은은한 무광 효과를 구현한다.
패키징존은 유니커블(UNIQABLE™) 등 다양한 친환경 패키징 솔루션을 선보인다. 유니커블은 기존의 복합재질 포장필름과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단일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재활용률을 높였다.
고기능성존은 ▲이차전지와 전도성 플라스틱에 활용되는 탄소나노튜브(CNT) ▲배터리 용량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고성능 바인더 ▲뛰어난 열차단성과 높은 단열성으로 이차전지 및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에어로젤(Aerogel) 넥슐라(NexulaTM) 등 혁신적인 소재를 선보인다.
LG화학은 유럽연합(EU)에서 제정한 폐차처리규정(ELVR)과 재활용·친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회사의 기계적·화학적 재활용 기술력과 친환경 원료 역량을 강조한다. 재활용 소재 시장에 특화된 전략 제품도 선보인다.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 전무는 "고부가 제품과 혁신 기술이 실질적인 사업성과와 연결되도록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LG화학, 액상·필름 PID로 반도체 시장 공략 박차
- LG화학, 협력사 대상 '기술보호 지원사업' 추진
- LG화학, 충남 서산으로 '우리가 그린히어로' 확대
- LG, 사장단 회의 개최… AI·R&D 전략 논의
- LG화학, 대전 기술연구원에 로봇 자동화 실험실 구축
- 전기차 소비자 10명 중 6명은 '3040'…연령 낮을수록 선호 높아
- 금속-유기 골격체 연구자 3인, 노벨화학상 수상
- LG화학, 3분기 영업익 6797억원… 전년비 38.9% 증가
- LG화학-중국 시노펙, 소듐이온전지 소재 공동개발 협력
- [Biz&Law] LG화학, 日 기업과 'EP 485특허' 분쟁 항소심 승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