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멈춰도 월가는 전진
안전자산 쏠림도 가속

미국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돌입했지만 뉴욕증시는 오히려 상승세로 장을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돌입했지만 뉴욕증시는 오히려 상승세로 장을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미국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돌입했지만 뉴욕증시는 오히려 상승세로 마감했다.

시장은 반복돼온 정치적 갈등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모습이었고 안전자산인 금값은 다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반영했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21포인트(0.09%) 오른 4만6441.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 역시 22.74포인트(0.34%) 오른 6711.20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5.15포인트(0.42%) 상승한 2만2755.16을 기록했다.

정치권의 교착으로 이날부터 미국 연방정부는 공식 셧다운에 들어갔다. 예산안 합의가 무산되면서 수십만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에 돌입했고 일부 공공 서비스는 중단됐다. 

하지만 시장은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 과거 경험상 셧다운이 장기화되지 않고 결국 합의로 끝났다는 학습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금 시장은 전혀 다른 반응을 보였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온스당 3897.50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24.30달러(0.62%) 상승, 또다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셧다운이 가져올 불확실성과 고용지표 발표 지연 가능성이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국제유가는 셧다운과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증산 논의 가능성이 겹쳐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0.59달러(0.94%) 떨어진 배럴당 61.78달러에 거래됐고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의 12월 브렌트유는 배럴당 65.35달러로 0.68달러(1.03%) 하락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