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민보고회서 도전 연구·실패 자유 보장 강조
내년도 연구개발 예산 19.3% 인상 등 언급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정부 시기 이뤄진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 삭감과 관련 “이번 정부는 삭감분을 회복하는 수준을 넘어 더 큰 규모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7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과학기술은 국가의 미래를 여는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이날 “정부는 내년도 R&D 예산을 전년 대비 19.3% 증가한 35조4000억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며 “이는 대부분 상상하지 못했을 수준의 확충”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문화와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것은 국민들이 배움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과학기술 분야 역시 마찬가지로 국가·기업·개인 모두가 지속적으로 공부하고 연구해야 미래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R&D 정책 방향에 대해선 “연구개발에서 ‘실패할 자유’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 R&D 성공률이 90%가 넘는다고 하는데 이것은 이미 성공이 보장된 안정적 연구에만 자원이 투입되고 있다는 뜻”이라며 “어려운 분야에 도전해야 새로운 길이 열린다. 실패를 허용해야 진짜 혁신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행사에서는 지난 정부 당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위수여식에서 R&D 예산 삭감에 항의하다 퇴장 조치를 당한 졸업생 사례도 언급됐다.
이 대통령은 “학생이 혹시 오늘 행사에 와 있다면 직접 만나보고 싶었다”며 “당시 얼마나 억울했겠느냐”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개인적 소회를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관심도 드러냈다. 그는 “부모의 형편이 더 여유 있었다면 아마 과학 연구자의 길을 걸었을 것”이라며 “미생물학이나 원자핵물리학 등 미세하고 근본적인 세계를 연구해보고 싶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법학을 공부하게 됐고 지금은 전쟁터 같은 정치에 들어와 있다”며 “그럼에도 해야 할 역할이 있다”고 덧붙이며 자리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국민보고회가 단순 정책 설명을 넘어 과학기술인을 다시 국가 미래의 중심에 놓겠다는 상징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