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서울와이어 혁신포럼 개최
"낡은 산업구조 통하지 않아⋯성장동력 골든타임"

전창협 서울와이어 사장이 '제6회 서울와이어 혁신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전창협 서울와이어 사장이 '제6회 서울와이어 혁신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서울와이어=정윤식 기자] 전창협 서울와이어 사장은 “지금 이 시대의 화두는 인공지능(AI)라는 것에 다른 목소리는 없다”며 “AI는 새로운 하나의 혁신적인 기술이 아니라, 미래를 바꿔놓을 확고한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14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된 ‘제6회 서울와이어 혁신포럼(SWIF·SeoulWire Innovation Forum)’에서 전창협 사장은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이재명 정부가 2030년 글로벌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제시한 가운데, ‘AI 3대 강국 CEO들의 혁신 전략’을 주제로 새로운 시대의 길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전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AI가 게임체인저가 된 지금, 여러 질문이 우리 앞에 놓여있고, 해답을 찾아야되는 시기”라며 “AI는 필연적으로 글로벌 경제와 산업구조의 판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과거 낡은 산업구조는 더 이상 통하지 않고, 새로운 판을 짜는 데 적극 나서지 않으면 기업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위기지만 또 한편으로는 기업에게 더할 나위 없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펼쳐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시대의 도래는 기업의 입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골든타임이 될 수도 있다. 저성장의 늪에 빠진 우리 경제와 산업에 새로운 성장엔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포럼은 이런 고민과 숙제를 풀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 사장은 “이 자리가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우리 기업들이 AI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