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물가안정 억제 방침에 전기료인상 난항
적자에 빠진 한전, 손실 규모 불어날 가능성↑
비용 등 부담 안고 신재생에너지사업 만지작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전력이 올 3분기 9367억원대 적자를 내면서 누적 손실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한전은 내년부터 2026년까지 신재생발전 구축용량을 500%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기준인 올 9~11월 연료비가 상승하면서 전기요금 인상 압박이 높아졌다. 하지만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할 방침이라 인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 한전은 표면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국내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이면에는 올 2~3분기 연속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데 따른 타개책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점찍고 사업 확대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전은 이 같은 내용의 경영 목표안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목표안에 따르면 ▲전력수급 안정 ▲고객 신뢰도 제고 ▲탄소중립 대응 에너지 전환 ▲미래 혁신기술 확보 ▲신사업 개척 ▲지속 가능 성장기반 마련 방안 등과 신재생발전 구축용량 지표가 담겼다.
세부적으로 신재생발전 구축용량은 내년 172.5㎿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최대 1102.9㎿만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주력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발전 외 해상풍력으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전은 내년 에너지 효율 향상을 목표로 내년 시행을 앞둔 ‘에너지공급자 효율 향상 의무화제도(EERS)’를 활용해 내년 에너지 절감 목표치를 1020GWh에서 2026년 3175GWh로 끌어올리는 구체적 목표치를 마련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그동안 신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전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해왔다”며 “다만 현행법상 한전의 발전사업에 대한 참여가 제한돼 현재 표류 중인 전기사업법 개정안 통과가 선행 과제”라고 말했다.
- 한전·한수원 사장 탈원전 소신발언… 원전 논란은 '진행형'
- 한전, 전력구입비 증가로 3분기 누적 영업손실 1.1조
- [2021국감] 정승일, 호주 바이롱 사업… 수소 등 대안 검토
- 한전, 8년 만에 전기요금 인상…10월부터 전기요금 1kWh당 3원↑
- 4분기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국제 유가 탓
- 정부 물가관리 '펑크'...도시가스 요금까지 10% 오른다
- 공공요금 인상 놓고, 정부-부처 '불협화음'
- 내년 1분기 전기요금 동결… 정부 "국민생활 안정 위해 인상 유보"
- 전기료 연료비 연동제 유명무실… 원가 급등에 한전 눈덩이 적자
- 공공요금 억제한다더니...대선후 전기·가스요금 줄줄이 오른다
- 한전, 온실가스 분해기술 적용 철도공단과 '윈-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