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WtE플랜트 시장 영향력 강화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두산중공업이 독일에서 폐자원 에너지화(WtE) 플랜트 수주에 성공했다. WtE 플랜트는 산업현장과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연성 폐자원을 가스화, 소각, 열분해 등의 과정을 거쳐 에너지화 하는 시설이다.
두산중공업의 독일 자회사인 두산렌체스는 24일 발주처인 MHKW 비스바덴으로부터 1600억원 규모의 비스바덴 WtE 플랜트의 착수지시서(NTP)를 접수했다. MHKW 비스바덴은 비스바덴 지역난방공사와 다름슈타트 지역 발전 공기업이 합작해 세운 폐기물 처리 기업이다.
수주에 성공한 WtE 플랜트는 2024년 독일 중서부 비스바덴에 준공 예정이다. 두산렌체스는 WtE 플랜트 설계를 비롯해 기자재 공급과 설치, 시운전을 맡는다. 완공 시 하루 600톤의 도시 생활폐기물을 처리해 22㎿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고 40㎿ 규모의 지역 난방을 공급한다.
해당 시설의 중요성은 노후 플랜트 교체 수요 증가와 폐기물 매립지 제한 정책에 따라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전력과 열 공급뿐 아니라 쓰레기 매립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앞서 두산렌체스는 2020년 8월과 10월 1260억원 규모의 폴란드 올슈틴 WtE 플랜트, 1200억원 규모의 독일 딘스라켄 WtE 플랜트를 잇달아 수주했다. 지난해 5월에도 670억원 규모의 폴란트 바르샤바 WtE 플랜트 추가 수주에 성공하는 등 유럽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박홍욱 두산중공업 파워서비스BG장은 “유럽 내 폐자원 환경 기준이 강화되면서 유럽에서 최근 5년간 매년 10여기의 WtE 발주가 이뤄지는 등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며 “2025년까지 약 80기의 신규 발주가 전망돼 기존 수주실적을 바탕으로 유럽 WtE 시장을 공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