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반도체 생산 동반자 관계 강화 차원
세계 최대규모 반도체 생산라인 관심 반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방한 직후 삼성전자 평택공장을 방문한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방한 직후 삼성전자 평택공장을 방문한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방한일정의 첫 행선지로 삼성전자의 평택공장을 선택했다.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최고경영자(CEO)도 동행해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라인을 둘러볼 예정이다.

미국이 '반도체안보'를 실현하기 위해  한미 양국 반도체 사업공조 강화에 나설 가능성이 높고 바이든 대통령의 공장방문도 이와 연관됐다는 분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0일 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그는 아몬 CEO와 함께 삼성전자 평택공장에 방문해 공장을 둘러보고 연설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미국이 반도체산업 공급망 재편과 제조시설 확충에 나서는 만큼 바이든 대통령이 삼성전자의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공장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본다. 

평택공장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생산라인 총 부지 면적이 289만㎡(87만5000평)에 달한다. 생산라인 중 P3는 클린룸 규모만 축구장 면적 25개에 달해 현존 단일 반도체라인 중 세계 최대 규모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이후 반도체산업 육성방안을 고민했다. 이번 방문을 기점을 한국과의 공조를 강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는 지난해 주요 반도체 기업들에게 대외비 수준의 정보를 요구하며 반도체 안보 강화의지를 드러냈다. 이후  삼성전자를 미국 반도체 역량 강화 대책회의에 참여시켜 안보 강화와 중국 견제 등을 실시했다.

미국은 자국 파운드리 생산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업계 2위인 삼성전자의 지원을 바란다. 텍사스주 테일러시 파운드리 공장설립에 각종 지원이 포함된 것도 이와 통한다는 분석이다. 특히 구체적인 착공일정을 이번 방문에서 구체화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직접 나서서 바이든 대통령의 방문을 지휘한다.  이 부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의 안내를 위한 리허설을 마쳤고 다음날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과의 만찬에도 참여해  반도체 공급망 강화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반도체·배터리 등 공급망 위기 공동대응을 위한 경제안보가 의제로 나올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를 늘리고 있기에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을 기점으로 추가 지원을 논의할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