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집단 상장사 시총 …올해 초 대비 18.4% 감소
삼성 부동의 1위… LG 시총 200조원 돌파 '순위 상승'
카카오·네이버 시총 50% 이상↓… 각각 7·9위로 밀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유가증권에 상장된 대기업 집단 계열사들의 시가총액 기준 순위 변동이 일어났다. 배터리 상장사를 등에 업은 LG그룹은 2위로 뛰어올랐다. 이와 달리 카카오와 네이버 등은 시가총액이 50% 이상 줄어 순위도 고꾸라졌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올해 1월3일과 지난달 28일을 기준으로 76개 대기업 집단 중 상장사를 보유한 70개 그룹의 303개사 시가총액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연초(1786조7322억원) 대비 약 382조원(18.4%) 줄어든 1458조9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그룹은 해당 기간 시가총액이 129조원 이상 줄었지만 대기업 집단 1위자리를 지켰다. 삼성전자·전기·SDS 등 10개 상장사는 하락한 반면 SDI( 5조2948억원, 11.8%), 바이오로직스(2조721억원, 3.4%), 생명(5800억원, 4.5%) 등의 시가총액은 증가했다.
SK그룹은 2위 자리를 LG그룹에 내줬다. 배터리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 상장에 힘입어 시가총액이 200조원을 돌파하며 2위로 올라섰다. 11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218조1288억원으로 연초 대비 80.5%(97조2861억원) 급증하며 4위에서 순위가 두 계단 상승했다.
3위 SK그룹의 연초 시가총액은 209조8979억원으로 200조원을 초과했으나, 지난달 20개 상장 계열사 모두 시가총액이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이 뒤를 이었다. 현대글로비스와 현대로템을 제외한 상장 계열사들의 시가총액은 105조6177억원으로 연초(129조8593억원) 대비 18.7%(24조2415억원) 줄었다.
포스코그룹은 상위 5개 대기업 집단 중 중 유일하게 시가총액이 오르면서 5위를 차지했다. 실제 포스코그룹의 6개 상장 계열사들의 시가총액은 40조2122억원으로 연초 39조9912억원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담당하는 포스코케미칼의 시가총액이 연초 11조1159억원에서 15조4926억원으로 39.4%(4조3766억원) 증가하며 시가총액 상승을 이끌었다. 6위는 셀트리온그룹으로 3개 상장 계열사들의 시가총액은 39조5783억원이다.
카카오그룹은 5위에서 7위로 내려앉았다. 5개 상장 계열사들의 시가총액은 연초 110조 5376억원에서 10개월 새 66.2%(73조1473억원) 증발했다. 상장주 부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6위를 유지했던 네이버도 35조4346억원(-57.4%)의 시가총액이 절반으로 감소하며 9위로 떨어졌다.
신작 흥행 저조로 주가가 하락을 거듭했던 대형게임사인 크래프톤과 넷마블 역시 연초 대비 각각 61.9%(13조9372억원), 51.9%(8조4932억원) 시가총액이 사라졌다. 반면 현대중공업그룹과 한화그룹은 각각 6.2%, 0.1% 시가총액이 상승하며 8위와 10위를 기록했다.
- 2년5개월만에 돌아온 신라젠, 숙제는 수익 창출·시장 신뢰회복
- 포르쉐, 증시에서 화려한 이름값… 상장 즉시 벤츠·BMW 제쳤다
- 카뱅 주가 거품 붕괴의 암담한 현실… 개미 투자자들만 '바보'
- [CEO투데이] '시총 100조' 향해 질주하는, 송호성 기아 사장
- 상반기 '1조 클럽 판도 급변'… 국내 상장사 80% 시총 감소
- 메타 서비스 연달아 ‘에러’… 왓츠앱 이어 인스타그램까지 먹통
- '안랩 MDS' 금융권에서 랜섬웨어 해킹 방어능력 인정
- 못말리는 K배터리주… 혹한의 시장 분위기에도 주가 '활활'
- 차배터리·전장사업, 주력 확 바꾼 LG… 완성차 빼고 다 만든다
- LG엔솔, 실적 날개단다… GM 합작공장서 첫 배터리 양산
- 포스코케미칼, GM·LG엔솔 美합작사 잡고 '글로벌사업' 확대
- LG엔솔, 오창 배터리 생산공장 신증설에 '4조원'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