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경쟁시장청 "서울~런던 노선 운임 상승·서비스 품질 하락 우려"
화물운송 높은 비용 지불 지적… 오는 28일까지 추가 조사 여부 결정
대한항공 측 "CMA와 지속적으로 협의 중, 심사 과정 성실히 임할 것"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본격화하는 가운데 영국 경쟁당국이 급제동을 걸었다. 인수가 성사되면 서울~런던 노선 운임이 상승하고 서비스 품질 하락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15일(현지시간) 영국 경쟁시장청(CMA)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로 런던과 서울을 오가는 승객들이 더 높은 가격과 낮아진 서비스 품질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며 “화물운송에서도 영국 사업자들이 한국에 화물을 운송할 때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CMA 측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이런 우려를 해소하지 못하면 양사의 인수합병은 더 자세한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CMA는 대한항공 등에 오는 21일까지 경쟁제한 우려를 해소하는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자료를 검토한 이후 오는 28일까지 추가 조사 돌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합병하기 위해선 주요 14개국 승인을 얻어야 한다. 현재 양사는 9개국의 승인을 받은 상태다. 임의신고 국가인 영국과 필수신고 국가인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5개국에서 심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영국의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남은 심사에서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CMA의 발표는 기업결합 심사의 중간 결과 발표로 최종 결정은 아니다. CMA와 지속적으로 협의하는 상황이고 심사도 순조롭게 이뤄지는 중”이라며 “시정조치 관련 협의를 진행해 빠른 시일 내 확정해 제출할 예정이다. 심사 과정에서도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한공은 2020년 11월 정부와 산업은행의 ‘항공운송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에 따라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추진해왔으나 해외 경쟁당국의 심사가 길어지면서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 어느 한 국가의 경쟁당국이라도 합병을 불허하면 사업이 무산될 전망이다.
- 둔촌주공 분양가 3.3㎡당 3829만원… "중도금 대출 가능할까?"
- 집값 독박 상투 잡은 무주택자들… 작년 103만명 집 구입
- 초등 동창에서 폭행 이혼으로… '땅콩회항' 조현아 이혼소송 곧 결말
- 대한항공, 3분기 영업익 8392억원 '역대최대'… 전년比 91% 증가
- 대한항공 세부 사고 대체 항공편 출발… 현장대책본부 운영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영국 이어 미국도 기업결합 제동 소식에 주가 약세
- 검찰, '이재명 최측근' 정진상 구속영장 청구
- 특수본, 이상민 행안부 장관 ‘피의자 신분’ 수사 검토
- 영국,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시정조치안 수용… EU 합병승인 날개다나?
- 대한항공, 3년 만에 채용문 '활짝'… 일반직 등 공개채용 재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