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경쟁시장청(CMA) "대한항공 제안은 합리적 근거가 있다"
사실상 수용 입장, 유럽연합(EU) 기업 결합심사에 긍정적 영향
대한항공 합병… 4개국 심사 남겨둬, 8부 능선 넘어 속도 낼 듯

기업결합을 심사하는 영국 경쟁시장청(CMA)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관련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CMA는 앞서 대항항공이 낸 독과점 우려 해소안을 사실상 수용했다. 사진=대한항공 제공
기업결합을 심사하는 영국 경쟁시장청(CMA)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관련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CMA는 앞서 대항항공이 낸 독과점 우려 해소안을 사실상 수용했다. 사진=대한항공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기업 결합 임의 신고국인 영국 당국이 28일(현지시간)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합병 이후 독과점 해소를 위한 시정조치안을 수용했다.

이는 유럽연합(EU) 경쟁당국 심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이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홈페이지에 "대한항공의 제안(시정조치안)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대한항공이 제출한 시정조치안에 대해 시장 경쟁성 제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수용한 셈이다. 

이에 CMA는 최종 승인 여부를 2차 심층조사 없이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정안에 대해 시장으로부터 추가 의견을 듣는 절차만 남겨둔 상태다.

대한항공은 이와 관련 "이번 결정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남은 기간 영국 경쟁당국의 기업결함 심사가 빨리 끝날 수 있도록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했다.

현재 대한항공은 필수 신고국인 미국, EU, 일본, 중국 경쟁 당국에게 기업 결합 심사를 받고 있다. 영국의 경우 필수 신고국은 아니지만, 런던과 서울을 오가는 항공편이 있는 만큼 사전 CMA측에 독과점 우려 해소안을 제출했다.

영국 항공사들이 인천~런던 노선이 신규 취항하면 시장 경쟁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다. 다만 영국이 대한항공이 제출한 시정조치안을 수용한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남은 국가 결합심사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한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은 주요 14개국 승인을 얻어야만 이뤄질 수 있으며, 9개국 승인을 받았다. 미국 법무부의 경우 지난 16일 양 사 합병에 대해 시간을 두고 추가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