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시험 일주일 앞두고 돌연 연기 통보, 조속히 이뤄져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한국형 화물창(이하 KC-1)이 탑재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선적시험을 돌연 거부하면서 관련 회사들의 추가 손실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삼성중공업은 30일, LNG 운반용 국적선 SK세레니티, SK스피카호가 지난 23일부터 삼척 LNG 터미널에서 선적한 뒤 동해상에서 LNG 선적시험(Full Loading Test)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경영진 교체를 앞둔 한국가스공사가 입항 거부와 연기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앞서 KC-1 개발사인 한국가스공사와 화물창 기술사인 KC LNG Tech(가스공사 자회사), 선주사인 SK해운, 건조사인 삼성중공업은 물론 한국·미국 선급이 참여해 최종 선적시험 조건과 절차를 준비해 왔다.
선박들은 수리 후 운항 재개를 위한 최종 점검을 앞둔 상태였다. 다만 삼성중공업은 한국가스공사가 선적을 불과 1주일 앞둔 지난 16일 공문을 통해 3차 시험 과정해서 발견된 콜드스팟(Cold Spot) 수리 결과, 선적시험 중 대처 방안 등 제출서류 미비를 이유로 일방적인 연기를 통보해왔다고 주장했다.
콜드스팟은 화물창 내 초저온 상태의 LNG로 선체 온도가 허용 기준치보다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삼성중공업은 이와 관련 지난 시험 결과 발견된 콜드스팟 부위에 대해 이미 한국가스공사에 제출했다.
회사는 수리 방법과 절차는 기술사인 공사와 KC LNG Tech에서 준비하는 사항으로 수리 결과는 선급에 이미 제출돼 관련 회사들에 공유된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또 선적시험 중 콜드스팟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급 규정상 허용 범위보다 안전한 상태로 확인됐다.
특히 선적시험 중 콜드스팟 발생 시 기술적 대처 방안도 관련 회사들과 협의를 통해 마련했고, 선급들로부터 운항 증명서를 발급받아 안정성을 확보한 상태다. 현재 삼성중공업은 선적시험에 필요한 인력, 자재, 협력사 계약 등의 준비를 마쳤다.
회사는 가스공사도 LNG 적하보험 가입을 진행했다며, 이미 제출된 자료를 다시 요구해 시험을 지연시키는 행위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가스공사 측에 LNG 선적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조치를 촉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지난 24일 발송했다.
무엇보다 국민 세금으로 개발된 KC-1을 탑재한 LNG선박에 대한 시험이 미뤄질 경우 기업손실도 커질 수 있다. 실제 SK해운과 삼성중공업은 선박의 품질 문제로 수년째 수리가 진행되면서 각각 수천억원의 미운항 손실과 화물창 수리비 부담을 떠안았다.
이런 가운데 선적시험이 다시 지연될 경우 운항 재개 역시 최대 수개월 연기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민간기업 입장에서는 시험 지연으로 막대한 손실을 계속 떠안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셈이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KC-1 품질 문제는 개발·설계사의 설계 결함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건조사로서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수리에 최선을 다했다”며 “시험 재개를 앞두고 LNG선적 연기는 가스공사 스스로 KC-1 설계 결함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가스공사에서 하루빨리 최종 선적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KC-1 수리 결과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선급 인증을 받는 등 조속한 운항 재개가 이뤄져야 한다” 덧붙였다.
- 삼성重, '3300억원'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건설사업 일부 수주
- 삼성중공업, 자율운항시스템 'SAS' 성능 입증… 약 950㎞ 해상실증 성공
- 삼성중공업, '1.5조' 규모 LNG선 5척 수주… 연간 수주목표 105% 초과달성
- 삼성중공업, '저탄소 기술'로 약 1000만톤 규모 탄소감축
- 삼성중공업, 선박용 '액화수소 연료전지시스템' 개발
- 인디 게임에 진심인 네오위즈… 닌텐도 e숍 80% 할인 이벤트
-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부회장에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선임
- 삼성중공업, LNG선 '탄소배출 저감 시스템' 독자개발
- LNG운반선 화물창 결함 삼성중공업, 선주사에 3781억원 배상
- 영국 해사중재재판소, 삼성중공업에 "LNG운반선 하자" 3800억 지급 판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