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DNV선급서 '기술인증 획득'까지 완료

김진모 삼성중공업 글로벌신사업팀장(오른쪽)이 선박용 '액화수소 연료전지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본인증 획득 후 안드레아스 크리스토페르센 DNV 한국 도면승인센터장(왼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중공업 제공
김진모 삼성중공업 글로벌신사업팀장(오른쪽)이 선박용 '액화수소 연료전지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본인증 획득 후 안드레아스 크리스토페르센 DNV 한국 도면승인센터장(왼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중공업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중공업이 '액화수소 연료전지 선박 추진시스템 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노르웨이 선급인 DNV로부터 기본인증 획득까지 마쳤다. 

9일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기본 인증을 획득한 기술은 액화수소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를 통해 만들어진 전력을 선박의 추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녔다.

빠른 시동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가동·정지에 최적화된 내구성을 갖췄다. 이에 모빌리티분야에 적합한 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연료전지의 경우 전력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기술 확보에 집중한 분야 중 하나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국내 수소 관련 업체들과 공동연구에 나섰고, 시스템 개발과 선급 인증까지 완료했다. 선박용 수소연료전지와 액화수소 저장탱크 개발에는 범한퓨얼셀과 정우이엔이 참여했다. 

수소연료전지와 배터리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전원 관리 시스템은 에스엔시스가 맡았다.

삼성중공업은 수소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상용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와 DNV선급, 국내 업체들과 기술 연구개발부터 제작, 인증까지의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회사는 이를 통해 국내 조선업계에서 앞선 선박용 연료전지 기술개발에 착수해 핵심기술을 축적해 왔다. 2019년에도 업계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추진 A-MAX급 원유운반선을 개발해 지난해 적용 범위를 LNG운반선으로 넓혔다. 

김진모 삼성중공업 글로벌신사업 팀장은 “회사는 SOFC, PEMFC 등 다양한 연료전지를 활용한 선박용 수소 발전시스템의 가능성을 열어가는 데 앞장섰다”며 “조선·해운업계에서 수소모빌리티 기술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산·학·선급 협력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