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DNV선급서 '기술인증 획득'까지 완료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중공업이 '액화수소 연료전지 선박 추진시스템 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노르웨이 선급인 DNV로부터 기본인증 획득까지 마쳤다.
9일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기본 인증을 획득한 기술은 액화수소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를 통해 만들어진 전력을 선박의 추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녔다.
빠른 시동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가동·정지에 최적화된 내구성을 갖췄다. 이에 모빌리티분야에 적합한 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연료전지의 경우 전력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기술 확보에 집중한 분야 중 하나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국내 수소 관련 업체들과 공동연구에 나섰고, 시스템 개발과 선급 인증까지 완료했다. 선박용 수소연료전지와 액화수소 저장탱크 개발에는 범한퓨얼셀과 정우이엔이 참여했다.
수소연료전지와 배터리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전원 관리 시스템은 에스엔시스가 맡았다.
삼성중공업은 수소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상용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와 DNV선급, 국내 업체들과 기술 연구개발부터 제작, 인증까지의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회사는 이를 통해 국내 조선업계에서 앞선 선박용 연료전지 기술개발에 착수해 핵심기술을 축적해 왔다. 2019년에도 업계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추진 A-MAX급 원유운반선을 개발해 지난해 적용 범위를 LNG운반선으로 넓혔다.
김진모 삼성중공업 글로벌신사업 팀장은 “회사는 SOFC, PEMFC 등 다양한 연료전지를 활용한 선박용 수소 발전시스템의 가능성을 열어가는 데 앞장섰다”며 “조선·해운업계에서 수소모빌리티 기술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산·학·선급 협력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삼성중공업, 20분기 연속 적자행진… 영업손실 '1679억원'
- 삼성중공업, VLGC 2척 수주… 연간 목표치 84% 달성
- 친환경 수요·달러화 강세… 조선 3사, 무르익는 '흑자전환'의 꿈
- 삼성중공업, 노르웨이 에퀴노르사와 전략적 제휴
- 삼성중공업, 50주년 맞은 '가스텍' 참가… 미래에너지 기술 선봬
- 올해도 중국에 밀린 한국 조선업계?… "펼쳐보니 알짜배기 가득"
- 삼성중공업, 5898억원 상당 LNG선 2척 등 추가 수주
- 삼성중공업, '저탄소 기술'로 약 1000만톤 규모 탄소감축
- 삼성중공업, '1.5조' 규모 LNG선 5척 수주… 연간 수주목표 105% 초과달성
- 삼성중공업, 자율운항시스템 'SAS' 성능 입증… 약 950㎞ 해상실증 성공
- 삼성重, '3300억원'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건설사업 일부 수주
- 삼성重 "가스공사, 한국형 화물창 선적시험 거부 이해할 수 없어"
- 글로벌 에너지 위기·줄어든 내부 악재… K-조선 내년도 꽃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