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7월(6.3%) 이후 오름폭 축소
농산·채소류 등 일부 품목 가격하락 영향

지난달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5%대를 유지했다. 농산물과 채소류 등 일부품목의 가격 상승세는 다소 둔화한 양상을 보였다. 사진=이태구 기자
지난달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5%대를 유지했다. 농산물과 채소류 등 일부품목의 가격 상승세는 다소 둔화한 양상을 보였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로 오름폭이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류를 비롯한 공업제품과 채소 등 농축수산물 등 일부 품목의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인 탓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전월 대비 5.0% 올랐다. 상승률로는 올해 4월(4.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앞서 물가 상승률은 올 7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6.3%까지 올랐다. 이후 8월 5.7%, 9월 5.6%로 점차 낮아졌지만,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10월 다시 5.7%로 오름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5월(5.4%) 이후 7개월째 5%가 넘는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지만, 실제 10월을 제외하면 7월 정점을 찍은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는 양상이다. 품목별로 농축수산물이 전월(5.2%) 대비 0.3% 올라 가격 오름폭이 가장 낮았다.

농산물이 2.0%, 채소류가 2.7% 각각 하락했다. 반대로 수산물은 6.8%, 축산물은 1.1% 올랐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6.2%로 전월(6.4%)보다 줄었다. 외식이 8.6%, 외식 외 개인서비스가 4.5%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석유류가 5.6%, 가공식품이 9.4% 각각 오른 공업제품의 가격 상승률의 경우도 전체 5.9% 상승하는 등 전월(6.3%) 대비 오름세가 둔화했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커 체감물가라 불리는 생활물가지수 역시 5.5% 오르며 전월(6.5%) 대비 상승 폭이 줄었다. 

전체적인 오름폭 둔화에도 물가 상승률이 5%대를 유지하는 이유는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 상승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달 공공요금이 일제히 인상된 바 있다. 상승률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가의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도 전월과 같은 4.8%로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3% 올라 2008년 12월(4.5%) 이후 최대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하며 상승 폭은 전월 대비 축소됐다. 다만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그리고 전기·가스·수도 가격 오름세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