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7월(6.3%) 이후 오름폭 축소
농산·채소류 등 일부 품목 가격하락 영향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로 오름폭이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류를 비롯한 공업제품과 채소 등 농축수산물 등 일부 품목의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인 탓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전월 대비 5.0% 올랐다. 상승률로는 올해 4월(4.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앞서 물가 상승률은 올 7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6.3%까지 올랐다. 이후 8월 5.7%, 9월 5.6%로 점차 낮아졌지만,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10월 다시 5.7%로 오름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5월(5.4%) 이후 7개월째 5%가 넘는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지만, 실제 10월을 제외하면 7월 정점을 찍은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는 양상이다. 품목별로 농축수산물이 전월(5.2%) 대비 0.3% 올라 가격 오름폭이 가장 낮았다.
농산물이 2.0%, 채소류가 2.7% 각각 하락했다. 반대로 수산물은 6.8%, 축산물은 1.1% 올랐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6.2%로 전월(6.4%)보다 줄었다. 외식이 8.6%, 외식 외 개인서비스가 4.5%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석유류가 5.6%, 가공식품이 9.4% 각각 오른 공업제품의 가격 상승률의 경우도 전체 5.9% 상승하는 등 전월(6.3%) 대비 오름세가 둔화했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커 체감물가라 불리는 생활물가지수 역시 5.5% 오르며 전월(6.5%) 대비 상승 폭이 줄었다.
전체적인 오름폭 둔화에도 물가 상승률이 5%대를 유지하는 이유는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 상승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달 공공요금이 일제히 인상된 바 있다. 상승률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가의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도 전월과 같은 4.8%로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3% 올라 2008년 12월(4.5%) 이후 최대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하며 상승 폭은 전월 대비 축소됐다. 다만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그리고 전기·가스·수도 가격 오름세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 뉴욕증시, 인플레 둔화·고용 견조에도 제조업 침체에 혼조
- 5만원 냈더니 "서운한거 있냐"… 뜨거운 축의금 기준 '논쟁'
- [기자수첩] 물가 오르니, 양심을 파는 뻔뻔한 상인들
- 작년보다 줄어든 김장비용… 전통시장 30만원, 대형마트 35만원
- 한전 내년도 전기요금 인상 카드 만지작
- 모로코, F조 1위로 16강 진출… FIFA 랭킹 2위 벨기에 탈락
- [내집 마련 캘린더] 하반기 '최대어' 둔촌주공 포함 필수 '청약리스트'
- 특수본,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피의자 소환
- NH농협은행,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ESG경영 위해 ‘맞손’
- 특수본, ‘이태원 참사’ 불법 가벽 방치한 해밀톤호텔 대표 소환
- 작년 물가품목 10개중 9개 인상… 체감물가, 24년만에 '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