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최근 식당에 들어가면 눈여겨 보는 것이 있다. 바로 김치의 원산지다. 김치 없이 못 사는 한국에서 중국산이 식탁을 점령한 탓이다.
기자는 며칠 전 저녁 삼겹살과 김치를 구워먹었다. 가게 사장님은 “직접 담근 김치라서 고기에 싸서 먹으면 더욱 맛있다”고 추천했다. 한 입 먹자마자 사장님이 말한 의미를 알았다. 중국산 김치는 국내산 김치에 비교할 게 못 된다.
중국 김치는 위생부터 말이 많다. 지난해 김치를 알몸으로 담그는 영상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퍼지면서 국민적 불신을 낳았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가 ‘김치의 원조는 파오차이며 종주국은 중국’이라는 허무맹랑한 주장을 펼치면서 중국산 김치는 한국 식탁에서 자취를 감췄다. 당시 중국산 김치를 사용하던 일부 식당은 별점 테러를 당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5월부터 다시 중국산 김치가 식탁에 올라오기 시작했다. 배추 가격이 급등한 데다 올 여름 태풍으로 배추 수확량이 줄면서 포장김치 가격 역시 일제히 올랐기 때문이다.
국내산 김치와 중국산 김치의 가격은 3배가량 차이난다. 이에 중국산 김치는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한국 밥상을 다시 장악하고 있다.
와중에 일부 식당은 중국산 김치를 국내산으로 속여 내놨다. 지난 8월까지 김치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해 적발된 식당은 256곳, 아예 표시를 안한 곳은 122곳에 달한다.
먹거리 위생은 안전과 직결된다. 중국산 김치의 가장 큰 문제는 위생이다. 정부는 수입김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입 김치에 해썹(HACCP) 준수를 단계적으로 의무 적용하고 원산지 허위 표시 등 단속 강화를 예고했다.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국내산 김치를 사용하는 식당은 적을 수밖에 없다. 다만 일부 비양심적인 자영업자들로 인해 정체불명의 김치를 먹어야 하는 한 명의 소비자로써 두렵기만 하다.
그나마 다행스럽게도 올해 김장 비용은 지난해보다 저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본격적인 김장철 이후에는 국내산 김치를 식탁에서 볼 일이 많아지길 기대한다.
- [기자수첩] 규제지역 해제, 서둘러 추가 대책 마련해야
- [기자수첩] 수소경제 앞당기려면, 충전 인프라부터 집중해야
- [기자수첩] SPC, 4번의 사과만으로는 소비자 마음 못 돌린다
- [기자수첩] 코인 거래소, 단합된 모습 보여야 할때
- [기자수첩] 글로벌 빅테크 해고 칼바람… 우리도 준비해야
- [기자수첩] 진흙탕 빠진 한남2구역, '싸움'아닌 '경쟁'해야
- [기자수첩] 한전은 억울하다, 비난보다 현실을 보아라
- 중국은 김치종주국 주장하는데… 수입 99%가 중국산
- [기자수첩] '중동붐' 수출시장 다변화 기회로 이용해야
- [기자수첩] 다양성 드러낸 지스타, K게임 희망 보였다
- [기자수첩] 서민 울리는 종부세, 정치 목적으로 이용되면 안돼
- [기자수첩] 거대노조 으름장, 언제까지 끌려다녀야 하나
- [기자수첩] 또 터진 '맥도날드 위생', 도대체 언제 개선되나
- '고물가' 정점 지났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