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떼 입찰 관련 전산 자료 등 확보… 국토부 '수사 의뢰' 조치
계열사 대표 등 10여명 피의자로 입건, '유령 계열사' 등 조사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국토교통부의 수사 의뢰에 따라 건설사 3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국토교통부의 수사 의뢰에 따라 건설사 3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경찰이 건설사의 공공택지 ‘벌떼 입찰’ 의혹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지난 1일 오전 호반건설과 우미건설, 대방건설 등 3개 건설사 본사를 대상으로 수사관 50여명을 파견해 압수수색을 진행했고 벌떼 입찰 관련 전산 자료 등을 확보했다.

벌떼 입찰은 건설사들이 공공택지를 대량 확보하기 위해 유령회사 등 계열사를 동원해 입찰에 참여해 낙찰을 받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들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입찰에서 계열사를 동원해 낙찰률을 높인 혐의(업무방해)를 받는다. 국토교통부는 올 9월 이같은 정황을 확인하고 관련 수사를 경찰에 의뢰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당시 국토부의 요청에 따른 행보로 풀이된다.

경찰은 이들 건설사가 건설산업기본법과 주택법에서 금지하는 사업자 명의대여를 했는지도 수사했다. 입찰 과정에서 페이퍼컴퍼니와 같은 ‘유령 계열사’를 동원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현재 계열사 대표 등 10여명을 피의자로 입건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올 10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페이퍼컴퍼니인지 여부에 대해 1차 조사를 진행해 명백한 10개 회사에 대해서는 경찰청에 수사 의뢰했고 나머지도 지자체를 통해 조사 중”이라며 “감사든 수사든 문제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9일 공정거래위원회도 벌떼 입찰 의혹이 제기된 대방·중흥·우미·제일건설을 상대로 조사관을 파견해 현장조사에 나섰다. 다만 공정위는 벌떼입찰 자체를 입찰 담합으로 규제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여러 개체가 참여한 구조여서 쉽게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