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 14일 미국 텍사스에서 개발하던 발전소용 에너지 저장장치(ESS) 프로젝트 총 7개를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ESS 프로젝트의 설비 규모는 총 2.4기가와트시(GWh)로 국내 기준 약 100만명이 하루에 사용하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규모다. 계약은 한화큐셀이 맺은 에너지 프로젝트 매각 계약 중 거래금액 기준 최대 규모다.
한화큐셀이 직접 개발을 완료하고 건설 마무리 단계를 진행 중인 380메가와트시(MWh) 규모의 커닝햄(Cunningham) ESS 프로젝트를 비롯한 개발 진행 중인 사업 등이 매각 대상에 포함됐다.
인수자인 스페인 재생에너지 개발 및 민자발전사업(IPP) 기업인 악시오나(Acciona)는 남은 개발과 건설 작업이 완료되면 ESS 단지를 직접 운영할 예정이다. 단지 별 완공 시점은 2023년 1분기부터 2025년까지로 각각 다르다.
이번 계약으로 한화큐셀은 에너지 기자재 공급을 넘어 ESS사업 개발, 자금 조달 등 설계·조달·시공(EPC)를 아우르는 종합 사업자로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실제 회사는 개발 중인 6개 프로젝트의 EPC 계약도 긍정적으로 논의 중이다.
각 단지는 텍사스 전력신뢰도위원회(ERCOT) 전력망에 연계되며, 현지 발전자원과 전력 수요처들과 유기적으로 운영된다.
운영사는 전력이 저렴할 때 구입해 ESS에 저장했다가 가격이 높을 때 저장한 전력을 판매해 차익을 얻는 동시에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텍사스주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에너지 정책과 시장 구조 변화 등으로 2020년 30%에서 2040년에는 80%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더 많은 ESS 설비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한화큐셀은 인버터와 ESS가 결합된 주거용 에너지 솔루션인 ‘큐홈코어(Q.HOME CORE)’를 출시해 가정용 태양광시장이 활성화된 유럽, 미국, 호주 등에 공급하며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돕고 있다.
이구영 한화큐셀 대표이사는 “ESS는 미래 핵심 에너지사업 분야”라며 “회사는 재생에너지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역량을 견고히 갖춰 나가는 한편 전 세계 에너지전환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한화큐셀, 에너지시스템 분야 '글로벌 인증시험소' 자격
- 한화큐셀, EU 고효율 태양광 셀 상용화 프로젝트 참여
- 한화솔루션, 글로벌 ‘태양광시장’ 톱티어 도약 선언
- [CEO투데이] 태양광사업 '야전사령관'… 이구영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대표
- 삼성전자·한화큐셀 제로에너지 홈 구축 '맞손'
- 한화, 대우조선해양 인수 '본계약'… 남은건 국내외 경쟁당국 심사
- 김승연 한화 회장 '함께 멀리' 철학… 연말 소외계층 지원에 ‘40억원’ 기부
- 한화솔루션, 내년 친환경 프로젝트 '페트도 옷이 된다' 확대
- 한화솔루션 "북미 초대형 태양광 프로젝트 나선다"
- LG엔솔·한화그룹 3사 "미국 IRA 수혜 잡자"… ESS 등 전방위 협력
- 한화솔루션, 미 MS와 태양광사업 '파트너십' 체결
- 한화큐셀, 유럽·미국 '태양광분야 글로벌 어워드' 휩쓴 비결은?
- 한화큐셀, 올 1분기 미국 태양광모듈시장 '역대 최대' 점유율
- 한화큐셀 장애인스포츠단, 전국체육대회서 '역대최다' 메달 등 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