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북한 무인기.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북한의 무인기가 대한민국 영공을 5시간 넘게 침범했지만 우리 군이 격추에 실패하면서 대비태세에 구멍이 뚫렸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6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5분부터 경기도 일대에서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항적이 포착됐다. 군이 확인한 무인기는 총 5대로, 이 중 4대는 강화도 일대를 비행했고 1대는 경기도 파주를 지나 서울 은평구 일대까지 내려왔다가 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까지 침투한 무인기는 남한 상공을 3시간 정도 비행하다가 북한으로 돌아갔다. 나머지 4대는 총 5시간을 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무인기를 탐지한 군은 경고 방송과 함께 경고 사격을 실시했다. 또한, 공군 전투기를 발진시키고, 공격헬기를 투입해 20㎜ 기관총 사격을 실시했지만 결국 무인기 격추에는 실패했다.

무인기 격추에 실패한 원인은 크기가 2m 이하로 작아 전투기 조종사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민간 거주지 상공이어서 적극적으로 사격하지 못한 것이 주효했다고 군은 설명했다.

경고 방송의 실효성을 묻는 물음에는 “무인기를 운용할 때는 기본적으로 조종 인원이 발진기지 인근에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답했다. 우리 군이 무인기를 탐지했음을 알려 무의미한 도발을 자제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군 당국자는 무인기 격추 실패에 대해 “민가, 도심지 등 있는 상공이다 보니까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 국민 피해를 고려해서 그 지역에서 사격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군이 무인기 격추에 실패하면서 대한민국의 영공을 침공한 무인기가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지파악할 수 없게 됐다. 게다가 무인기에는 폭탄 등의 무장을 장착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무인기를 방어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날 우리군은 북한 무인기 침공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유·무인 정찰자산을 군사분계선(MDL)이북 지역으로 투입해 북한군의 주요 군사시설을 촬영했다. 우리 군 정찰기가 MDL을 넘어가기는 이번이 사상 최초로, MDL로부터 서부지역은 10㎞, 동부지역은 15㎞ 안에서 무인기 비행이 금지하는 9·19 군사합의도 무색해졌다.

한편, 군의 작전 와중에 무인기 대응을 위해 출격하던 공군 KA-1 경공격기 1대가 이륙 중 추락했다. 조종사 2명은 무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