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금천구 박미주유소(SK에너지)에 구축된 도심형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사진=SK에너지 제공
서울시 금천구 박미주유소(SK에너지)에 구축된 도심형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사진=SK에너지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 자회사 SK에너지가 도심형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의 확산, 친환경 수소 융복합사업 가속을 위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손잡았다. 

SK에너지는 한수원과 13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도심형 분산발전 에너지 슈퍼스테이션과 수소충전소 구축 및 수소와 전기의 생산·판매, 폐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수소 융복합사업 협력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기존 주유소·액화석유가스(LPG)충전소에 태양광·연료전지 등 분산에너지와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해 친환경 전기를 직접 생산하며, 이를 전기차 충전에 사용하는 미래형 충전 인프라를 의미한다. 

양사는 이날 협역을 바탕으로 SK에너지 주유소, LPG충전소, 내트럭하우스 등 주요 고객접점과 유휴 국공유지를 활용해 복합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주유소 부지를 신재생에너지 생산 기지로 구축한다는 목표다. 

실제 친환경차 충전 등에 적용되는 개념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은 ▲도심 분산발전을 통한 전력 자립율 향상 ▲송·배전 손실 최소화 ▲안정적인 전기차 충전망 구축 등의 대안으로 주목도가 높아졌다.  

앞서 SK에너지는 정부 규제 샌드박스 실증특례를 받은 뒤 지난해부터 서울 소재 SK 주유소 두 곳에 연료전지를 설치해 전력을 생산 중이다. 앞으로 전기사업버 등 관련 규제가 정비되면 주유소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를 통한 전력을 곧장 활용할 수 있다는 정점이 있다. 

이에 SK에너지와 한수원은 서울 도심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구축 확대에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사업 기술 경험을 기반으로 한 추가적인 신규 사업기회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양사는 연료전지 시스템 ‘트라이젠(Trigen)’기반 온사이트(on-site) 수소충전소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SK에너지는 수소 상용차 충전 수요가 많은 내트럭하우스에 시범적으로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버스차고지 등으로 온사이트 수소충전소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현장에서 생산된 수소를 충전에 바로 사용하는 구조로 국내 수소경제를 앞당 길 것이란 기대가 높다.  

장호준 SK에너지 S&P(Solution&Platform)추진단장은 “주유소를 미래 전기차시대에 맞춰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으로 전환하는 데 속도를 내고, 에너지 신산업 개척을 통해 넷제로 실현 및 분산발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장필호 한수원 그린사업본부장은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확산에 다양한 신재생사업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할 계획"이라며 "수소경제 활성화라는 정부 정책에 부응하고, 도심형 분산전원 후속 사업들의 참조 모델이 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