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버지니아주, 포드·CATL '합작 공장' 유치 거부
글로벌 점유율 1위 자리, 흔들릴 가능성 높아져
국내 3사 북미진출 가속화, 성장속도 탄력 기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미·중 갈등 속 중국 배터리기업인 CATL의 현지 진출 계획이 제동이 걸렸다.
지난해부터 글로벌 제조 기업들 공장 유치에 발벗고 나선 미국 주정부들이지만, 이례적으로 버지니아주에선 완성차기업 포드와 CATL의 합작공장 설립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자국 의존도 탈피를 목적으로 해외공장 설립에 공격적으로 나섰다. 그간 내수를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중국에서 12년간 이어졌던 전기차 보조금 철폐 등 변수가 발생했다.
회사는 이에 해외로 눈을 돌렸고, 고성장세를 보인 북미시장 진출도 염두에 뒀다. 실제 포드와 합작공장을 세우기로 했고 부지의 경우 미시간과 버지니아를 놓고 검토 중이었으나, 미국 내 반중 정서로 진출 길이 전면 차단됐다.
현지 매체들 보도에 따르면 글렌 영킨 버지니아주 주지사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주의회 개원연설에서 “포드와 중국의 협력 관계는 안보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CATL이 버지니아에 전기차 배터리공장을 세우려는 시도를 거절했다”고 말했다.
업계는 이와 관련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한 CATL에 성장세가 한동안 제한될 것으로 봤다. 거대한 내수 시장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전략이 북미 진출 제동으로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탄력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북미시장을 포기해야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설상가상 2010년부터 시작된 중국 중앙정부에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원도 사라졌다.
최대 50%까지 지원됐던 지방 보조금이 철폐되면서 성장을 거듭했던 내수시장은 급랭한 상황이다.

CATL이 어려움을 겪는 사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글로벌 완성차업체와 잇따라 손잡고 북미 합작공장 건설에 속도를 냈다. 국내 기업들은 CATL과 북미시장 합작사를 발판삼아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사이익으로 점유율 37.1%로 왕좌를 차지한 CATL과 벌어진 격차를 줄여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 우리나라 배터리 3사는 미국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와 잇따라 합작공장 건설에 나섰다.
회사는 GM을 비롯한 혼다 등과 조인트벤처(JV) 합작공장은 물론 애리조나와 미시간 일대에 단독 공장까지 짓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IRA에 포함된 인센티브, 세금 감면 등 수혜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북미시장 주목도가 급상승했다”며 “지난해 전기차시장 성장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냈던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공장 설립 등 글로벌 입지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내 3사 중 가장 보수적으로 북미시장에 접근했던 삼성SDI도 올해부터 현지 생산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앞서 회사는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을 세워 북미 진출을 예고한 바 있다.
업계에선 올해 삼성SDI의 현지 생산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투자 발표가 쏟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SK온도 총 114억달러(약 13조1020억원) 규모의 투자안을 내놓고 합작 파트너인 포드와 켄터키주 합작공장 설립을 가속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분기 미국 첫 공장인 조지아 1공장 운영을 시작했고 올해는 조지아 2공장 가동을 앞뒀다.
포드가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SK온의 배터리 공급량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등 주도권 확보에 나설 수 있게 됐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정치 상황으로 중국 기업의 진출은 한동안 정체될 가능성이 높다”며 “반면 이 기간 국내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중국 공세에 밀린 3사 점유율 회복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전 세계, 신차 10대 중 1대가 전기차… 중국·유럽 성장세 뚜렷
- LG엔솔·한화그룹 3사 "미국 IRA 수혜 잡자"… ESS 등 전방위 협력
- SK온, 켄터키치킨 본고장에 포드와 세계최대 배터리공장 건설 '순항'
- 한일 배터리·완성차기업 간 '합종연횡'… LG엔솔, 북미시장 공략 가속
- LG엔솔 작년 영업익 1조 돌파… 올해도 '실적 파티' 이어갈까
-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연임 포기… 이원덕·박화재 급부상
- LG엔솔, 서울대와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나서
- LG엔솔의 무서운 진격...작년 최대실적, 수주잔고 385조원
- 혼다코리아, 미들급 모터사이클 'CL500' 국내 공식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