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중국 수출 규제 피해 감안하고 동참
현지생산라인 보유한 국내기업 영향 불가피
중국 "무역문제를 정치화·무기화 말라" 반발

중국 반도체기업들의 반도체장비 수입경로가 막힐 예정이다. 국내 기업들은 고객사 수요 감소 피해와 경쟁자 부진 등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중국 반도체기업들의 반도체장비 수입경로가 막힐 예정이다. 국내 기업들은 고객사 수요 감소 피해와 경쟁자 부진 등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중국 반도체기업들의 반도체장비 수입경로가 사실상 막힌다. 네덜란드와 일본 등 반도체장비 수출기업 보유국들이 미국의 제제에 동참한 탓이다. 국내기업들도 중국 제제에 동참할지 관심이 모인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미국과 일본, 네덜란드의 3국 국가안보 고위급 간부 회의 끝에 3국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 제한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0일 "미국은 일부 국가와 소그룹을 만들어 무역 문제를 정치화·무기화하고 있다"며 "각계 방면은 신중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 이상 다른 국가들이 규제에 동참할 경우 경제보복을 가하겠다는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은 반도체 굴기를 선언하고 국가적으로 반도체산업 부흥을 진행 중이었다. 이들은 대규모 생산라인을 조성할 인프라를 가졌으나 반도체 제조장비와 제조기술의 한계에 봉착했다. 

중국은 파운드리 공정을 중심으로 시장 영향력을 넓히던 중 미국의 반대에 부딪혔다. 미국은 반도체를 국가안보자산으로 취급하고 관련 기술이 중국으로 넘어가는 것을 금지하기 시작했다. 

이번 3국의 합의는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규제 중에서도 반도체장비 수출에 무게를 둔 조치다. 네덜란드와 일본은 반도체 제조장비 기업 중 상당수를 보유한 국가다. 특히 극자외선 노광기술(EUV)장비를 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ASML이 네덜란드기업이다. 일본도 니콘과 캐논이 반도체 노광장비 기술력을 갖춘 곳으로 알려졌다.

네덜란드와 일본의 수출 조치는 시간을 두고 진행될 예정이다. 중국의 무역보복에 따른 자국 영향을 최소화해야하기 때문이다. WSJ는 “일본과 네덜란드에서 반도체 수출 규제 시 법 개정이 필요해 실제 규제가 이뤄지기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칩4’동맹으로 부상하던 한국은 미국의 반도체 규제 조치에 쉽게 참여하지 못하는 중이다. 한국은 일본과 네덜란드와 달리 반도체장비보다 파운드리, 시스템반도체 등에서 강점을 보인다. 이미 중국과 경쟁을 벌이는 분야이며 중국 현지공장에 상당부분 생산을 의존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최대 고객의 부진으로 피해가 예상되지만 중국 반도체기업들이 주춤한 동안 시장입지를 다질 것으로 본다. 업계 관계자는 "최대 시장인 중국을 놓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YMTC 등 중국 반도체기업이 빠른 속도로 한국 반도체를 추격해온 상황에서 한숨 돌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