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한은행 제공
사진=신한은행 제공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신한금융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배당성향은 소폭 하락한 가운데 주주환원을 위해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다.

신한금융그룹은 2022년 연간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한 4조642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 이익(세전 4438억원)을 빼면 7.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

연간 이자이익은 자산 증가 및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전년보다 17.9% 증가한 10조6757억 원을 기록했다. 그룹 및 은행의 기중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0.15% 포인트(p), 0.22% 포인트 개선된 1.96%와 1.63%로 집계됐다.

비이자이익은 수수료 손익과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모두 줄어 전년 대비 30.4% 감소한 2조5315억원을 기록했다. 주식시장 위축으로 증권수탁수수료가 감소했고,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와 리오프닝에 따른 판촉비 증가 등으로 신용카드 수수료도 줄어들었다.

2022년 연간 대손 비용은 1조3057억원으로 불확실한 경기 대응을 위한 추가 충당금 5179억원을 더해 전년 동기 대비 31.0%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추가 적립한 경기대응 충당금은 총 1조1002억원으로 대내외 변동성에 대응하기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이날 신한금융 이사회는 2022년 회계연도에 대한 결산 배당금을 865원(연간 2065원)으로 결의해 3월 주주총회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이미 지급된 분기 배당금을 포함한 연간 보통주 배당성향은 전년 대비 2.4% 포인트 하락한 22.8%, 우선주를 포함한 연간 배당성향은 23.5%다.

주주환원의 일환으로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및 소각도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2022년 총주주환원율은 30.0%를 기록했다. 

신한금융은 “가계대출 및 비이자이익 감소에도 기업 대출과 글로벌 부문의 성장을 바탕으로 순이익 증가 추세를 유지했다”며 “투자상품관련 고객보상과 불확실한 경기상황 등을 대비한 추가 충당금 적립, 비용구조 개선을 위한 희망퇴직 실시로 4분기 순익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