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A, KISA 주관 성능인증 연이어 통과
물리보안 기술력, 안정성 모두 입증해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국가검증기관 성능인증을 연이어 획득하며 인공지능(AI) 물리보안 기술력과 안정성을 모두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주관 안면인식 성능 및 보안 시험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 지능형 CCTV 성능 인증을 연이어 통과한 사실을 공개했다.
TTA는 인터넷정보통신기술(ICT) 표준 제어, 보급·시험 인증 지원을 위해 설립된 국가 공인기관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통과한 안면인식 성능·보안 시험은 시중에 판매 중인 총 12종의 단말기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시험은 현장에서 스마트폰 전면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안면 사진을 인식시켜 위변조 여부를 판단했다. 이미 등록된 얼굴과 인증을 시도한 얼굴의 유사도를 분석해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성능·보안 평가에는 ▲오인식률(FAR) ▲오거부율(FRR) ▲등록실패율(FTE) ▲인증시도실패율(FTA) ▲위조수락율(SAR) 등 총 5가지 척도가 적용됐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시험에서 0.001%의 오인식률 상에서 임계치를 크게 하회하는 오거부율을 기록했다. 실제 사람이 아닌 사진, 영상 등의 위변조 시도를 허용하는 위조수락율 평가에서도 기술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AI기반 행동인식기술은 영상 내 인물을 검출, 주요 관절 위치를 특정해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해 이상 상황이 생기면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회사는 해당 기술을 오피스 출입 시스템인 ‘워크스루’에 적용해 사용 중이다. 행동인식기술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박원희 박사 연구팀과 함께 철도차량 내 CCTV를 활용한 이상상황감지시스템 공동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향후 국방, 행정, 사법 등 공공기관과 의료기관의 관제 시스템에도 관련 기술을 결합할 방침이다.
최동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총괄(CAIO)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보유한 AI기술로 사회안전 위협요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