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 사내독립기업인 에이블(AVEL)이 국내 재생에너지사업 활성화를 위해 관련 기업들과 손잡고 해상풍력발전 등을 활용한 예측 및 관리 시범사업에 나설 예정이다.
8일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에이블은 제주시 한경면에 위치한 탐라해상풍력발전 본사에서 김현태 대표를 비롯한 강희웅 한국남동발전 신재생에너지처장, 정광성 탐라해상풍력발전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7일 ‘전력시장 제도개선 제주 시범사업 공동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근 전력시장에서는 풍력, 태양광과 같은 분산에너지자원을 연결·제어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는 발전량 예측·제어가 어려운 한계가 있어 발전량의 정확한 예측과 ESS와의 연계성을 통합 관리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EA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3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해상풍력발전기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연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및 관리 시범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AVEL은 이 과정에서 에너지 전력망 통합관리(EA, Energy Aggregation)기술을 활용, ESS 등을 운영하고 한국남동발전은 예측제도 관련 행정 처리 등의 노하우를 공유하기로 했다. 탐라해상풍력발전은 풍력발전 운영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시범사업은 AVEL이 가진 EA기술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정확한 예측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는 등 국내 전력수급망 안정화와 가상발전소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전망이다.
김현태 AVEL 대표는 “지금까지 해상풍력에너지는 특성상 정확한 예측이 어렵고 ESS에 저장된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다”며 “해상풍력에너지 발전량의 정확한 예측과 효율적인 활용·관리로 국내 전력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AVEL은 협약을 바탕으로 ‘전력시장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참여도 결정했다. 올해 말 신설되는 이 제도는 일정 수준(설비용량 1MW 초과)을 갖춘 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 화력, 원자력 등 일반 발전기와 동등하게 전력시장 입찰 참여를 허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며, 제주도를 시작 전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AVEL은 LG에너지솔루션에서 지난해 10월 사내독립기업으로 공식 출범했다. 회사는 이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11월 제주에너지공사와도 ‘제주지역 전력계통 안정화와 전력신사업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국내 전력망 안정화에 적극 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