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취업자 증가 수 10만 명으로 상당폭 둔화 예상
고용 상황 점검 ·추가 일자리대책 적기 마련할 계획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산업현장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산업현장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체감 고용둔화가 더 크게 느껴질 수 있다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예고했다.

8일 추 부총리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취업자 증가 폭 축소와 경기 둔화가 맞물리면서 체감되는 고용 둔화는 보다 크게 느껴질 수 있다”며 “일자리 확충을 위한 정책 대응을 가속하겠다. 이미 편성된 일자리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해 고용여건 개선을 뒷받침하고 시급한 산업현장 일자리 문제 해결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고용률과 실업률은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취업자 증가가 작년에 예년에 비해 2배 이상 큰 폭으로 확대된 82만명에서 올해 10만명으로 상당폭 둔화돼 취업자 수는 장기 추세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했다.

추 부총리는 “관계부처와 고용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추가적인 일자리 대책도 적기에 마련해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는 인력난 호소가 큰 제조업과 물류·운송, 보건·복지, 음식업, 농업, 해외 건설 등 6대 업종을 선정해 각각 주무 부처 책임관을 지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업종별 맞춤형으로 내국인 유입 확대와 외국인력 활용 유연화를 병행해 일자리 매칭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 직접 일자리사업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경기·고용둔화 여건을 고려해 올해 일자리 예산 14조9000억원의 70% 이상을 상반기 집행하겠다고 예고했다.

추 부총리는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을 위한 직접 일자리사업은 지난해보다 1만4000명 확대해 올해 총 104만4000명을 채용할 예정”이라며 “연초 일자리 소득이 필요한 분들을 신속히 지원하기 위해 82만8000명 채용을 완료했다. 올 1분기에 전체 계획 인원인 88.6%인 92만4000명 이상 채용을 목표로 최대한 신속히 집행할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