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회사채 시장 훈풍에 힘입어 2월 채권 발행 규모가 전월보다 13조원 이상 늘어났다. 채권 금리도 미국발(發) 긴축 장기화 우려로 크게 올랐다.

금융투자협회가 10일 발표한 '2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채권 발행 규모는 72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보다 13조4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발행 잔액은 국채와 회사채, 특수채 등 순발행이 21조9000억원 증가하면서 2617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회사채 발행량은 1월보다 3조6000억원 늘어난 13조3000억원으로 조사됐다.

회사채와 국고채 간의 금리 차이를 뜻하는 크레디트 스프레드(가산금리)는 우량등급을 중심으로 축소됐다. 국고채와 비교한 회사채 투자의 위험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2월 회사채 수요예측은 총 108건, 8조9350억원으로 지난해 2월 5조4650억원보다 3조4700억원 증가했다. 수요예측 참여율도 작년 동기 대비 351.3%포인트나 증가한 534.6%에 달했다. 미매각 금액을 전체 발행 금액으로 나눈 미매각률은 1.3%로 나타났다. BBB등급 이하 비우량 회사채의 미매각률은 47.9%로 여전히 높았다.

채권 금리는 크게 뛰어올랐다. 지난달 말 국고채 3년물 금리는 1월 말보다 0.472%포인트 오른 연 3.797%를 5년물 금리는 같은 기간 0.530%포인트 뛴 연 3.829%를 각각 기록했다.

금리 상승과 채권 발행 증가로 지난달 장외 채권거래량은 1월보다 26조4000억원 증가한 390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거래량도 한달 간 1조3000억원 더 늘어나 19조5000억원에 달했다. 

금투협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시장 예상을 웃돈 미국의 고용·물가 지표 등의 영향으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기조가 강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증폭돼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