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주도 추형욱 SK E&S 사장 "국내 재생에너지 활용 대안이 될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민간이 중심이 된 탈탄소 정책협의체인 에너지얼라이언스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SK E&S가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현실적 방안 마련을 위해 정부, 업계를 비롯한 학계 등과 머리를 맞댔다.
에너지얼라이언스는 1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CF100(Carbon FREE 100%) 토론회’를 열고 'CF100' 전망과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CF100은 탄소배출이 없는 청정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개념으로 원자력, 수소, 탄소포집·저장 및 활용(CCUS) 기술 등이 포함된다.
재생에너지만으로 전력수요 100%를 대체하는 RE100 보다 현실적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도 CF100을 채택했다. 이에 토론회 참석 관계자들은 미래 에너지산업의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에너지얼라이언스 회원사인 SK E&S, GS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한화에너지, 효성중공업, 두산퓨얼셀, 두산에너빌리티, DL에너지, SK가스, 현대자동차, 현대경제연구원 비롯한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과 이원주 에너지정책관 등 정부 인사들도 참석했다.
박 차관은 이날 “태양광, 풍력뿐 아니라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무탄소전원의 활용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CF100을 논의하는 의미가 크다”며 “각계 전문가와 업계에서도 우리 여건과 현실에 부합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 달라”고 당부했다.
에너지얼라이언스 의장을 맡은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RE100과 CF100 모두 중요하다. CF100의 경우 원전과 수소 등에 활용할 수 있어 한정된 국토로 인해 RE100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대한민국에서 현실적 대안과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 참석자들은 이와 관련 CF100 현황과 전망을 공유하고 도입의 필요성과 국내 여건에 맞는 실천방식에 대해 의논했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연구실장은 “청정에너지 생산을 포함 저장·유통을 위한 기반 구축에 있어서도 속도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새만금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조기 착공,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의 연내 개설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각국이 재생에너지 활용도에 주목하지만, 이와 정반대 상황으로 흘러가는 국내 상황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르면 원전은 계속 운전 경제성 향상으로 대표적인 수혜 산업이며 원전 강국인 대한민국의 원전 수출사업에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손영훈 인천대 교수는 “한정된 재생에너지 활용만으로는 탄소중립 달성이 어렵다. 최근 이슈인 에너지 안보를 고려한다면 국내 풍부한 원전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홍종 단국대 교수는 “청정수소를 통해 전력에너지의 탈탄소화가 가능하고, 모빌리티 및 화석에너지 활용 산업군의 에너지원 대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CF100 실현에 있어 청정수소의 역할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한편 에너지얼라이언스는 2021년 국내 에너지 기업들과 연구기관이 모여 설립한 민간 주도의 협의체로 세계적인 탈탄소 흐름에 따라 국내 에너지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할 채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에서 출발했다.
- 권오갑 회장, 44년간 국가산업·회사 발전에 기여… '금탄산업훈장' 수훈
- 에쓰오일, 비대면 앱 '구도일 Zone' 출시… 주유고객 편의성 제고
- 이번엔 유럽판 IRA 핵심자원법… K배터리에 치명타 되나
- 미 공화당 대권주자 드산티스 "우크라 지원, 중요한 美 국익 아니다" 발언 파문
- 러 경제 비틀대지만...푸틴 "경제주권 상상 이상으로 몇배 강해졌다"
- SK E&S "환경부·현대차와 국내 기업 통근용 버스 수소차량 전환 앞당긴다"
- 고려아연, 실적 하락·신사업 성과 부진… 최윤범호 출항 후 첫 위기
- 현대차, 고려아연 지분 5% 인수…2차전지 동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