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IBK기업은행 사외이사 선임이 1년째 표류하며 진통을 겪고 있다.
사외이사 2명의 임기가 만료된 지 오래지만 차기 인사가 선정이 차질을 빚고 있는 데다, 최근 기업은행 노조가 추천한 이사 후보를 금융위원회가 배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외이사 선임을 둘러싼 양측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23일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IBK기업은행의 신임 사외이사 2명의 임명을 앞두고 특정 후보 2명을 낙점해 IBK기업은행에게 제청하도록 지시했다.
앞서 기업은행 노조는 이미 지난해 2월 사외이사 후보 3명을 은행 측에 추천했지만 임명되지 않아, 올해는 노조 추천 이사가 임명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임기 만료에 앞서 지부는 후보 3명을 기업은행에 추천했다. 그러나 최근 금융위는 은행쪽이 전달한 후보와 함께 검토하면서 노조가 추천한 인사를 제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업은행 노조가 크게 반발하는 모습이다.
기업은행 이사회는 은행장과 전무, 사외이사 4명 등 총 6명으로 구성된다. 그 중 사외이사 2명(신충식·김세직 이사)의 임기가 이미 지난해 3월 만료됐다. 임기가 끝난 김세직 이사는 퇴임했고, 신충식 이사는 임기 만료에도 1년째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상법 제386조에 따르면 임기가 만료된 이사도 후임이 정해질 때까지 사외이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실상 두 명의 사외이사를 새로 뽑아야 하는 셈이다.
기업은행 노조는 "금융위가 특정 후보 2명을 낙점해 기업은행에 제청을 지시했다"며 "금융위 입맛에 맞는 사외이사를 임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기업은행의 사외이사는 기업은행장이 제청하고 금융위원장이 임명한다.
김형선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노조추천이사제보다 더 급진적인 '공공기관 노동이사제'의 도입을 약속한 사람이 바로 윤석열 대통령이다"라며 "금융위가 무슨 배짱으로 기업은행 이사 선임에서 노조가 추천한 후보를 배제하겠다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금융위의 행보를 저지할 수 있게 기업은행 경영진도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노조는 "2020년 당시 윤종원 행장도, 2023년 김성태 신임 행장도 노조추천이사제 도입을 약속하고 노사 간 합의사항에도 명시했다"며 "은행장은 당장 유관기관인 금융위를 적극 설득하고 압박에 나서라"고 주장헀다.
- 신동빈 회장, 3년 만에 롯데칠성음료 사내이사 복귀
- [기자수첩] 거수기 오명 사외이사…독립성 강화 ‘먼 길‘
- '하는 일 없이 고액보수' 금융지주 사외이사… 3분의2 연임될 듯
- KT 사외이사·스카이라이프 대표 내정자 줄사퇴 배경은?
- '윤 캠프 출신' 임승태 화우 고문 KT 사외이사 사의
- JB금융-행동주의펀드 얼라인 30일 주총 표대결...배당·사외이사 놓고 충돌
- SK이노, 신임 사외이사 후보… 글로벌기업 경영인 출신 김주연·이복희
- 코레일의 황당한 필기 합격자 번복 소동… 9명이 합격서 불합격으로
- 6월부터 온라인서 예금상품 비교·추천 서비스 가능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