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내 빌딩 최초 적용사례로 주목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HD현대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HD현대일렉트릭이 세계 최초로 1메가와트(MW)급 빌딩용 직류(DC, Direct Current)배전 설비 상용화에 성공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이와 관련 7일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R&D센터(GRC)에서 한국전력공사(한전)과 공동으로 개발한 1MW급 직류전원 공급시스템의 상업 운전 개시 기념식을 열었다.
직류배전은 교류전원에서 높은 효율로 변환된 대용량의 전원을 다수의 직류부하에 그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교류배전 대비 초기 투자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계통 연계가 편리하는 장점이 부각되는 최근 국내에서는 차세대 배전 방식으로 이 배전 설비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도심 상업용 빌딩에 1MW급 대용량 직류배전을 적용한 것은 세계 최초다. 사측은 그동안 실증단계에 머물렀던 기술을 상용화했다는 데 갖는 의미가 남다르다고 설명했다. 또 에너지 효율을 연간 10% 이상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GRC 내 직류부하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냉·난방시스템, 전기차 급속충전소, R&D 설비 등이다. 최근 정부도 2030년까지 교류·직류 혼용 배전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미래형 전력망으로써 직류배전망 기술 개발의 중요성 강조한 셈이다. 이에 업계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 시장조사업체 리포트링커(Reportlinker)는 글로벌 직류배전망 시장은 2020년 141억달러에서 2027년 236억달러 규모로 2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양사는 이에 맞춰 2020년부터 직류배전용 컨버터, 배전반, 케이블 등 주요 전력설비를 개발해왔다. 이는 건물 내 배전계통과 보호계전 설계 및 구축을 비롯한 직류배전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과 직류배전 컨버터 공인, 성능 및 장기 운영 신뢰성 검증 등의 연구 성과로 이어졌다.
HD현대일트릭과 한전은 이날 직류전원 공급 서비스의 국내외 사업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공공 및 민간 사업장 대상 직류전원 공급 확대에도 보유한 역량을 활용할 계획이다.
HD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신재생발전,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전기차 등 직류전원과 부하 기기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한전과 긴밀히 협력해 국내 시장의 직류배전 기술 고도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현대일렉트릭, 미국서 대규모 배전용 변압기 수주… 창사 이래 '최대치'
- [CEO투데이] '외부영입 1호' 조석 현대일렉트릭 사장의 올해 과제는?
- 현대일렉트릭, 국내외 전 사업장 'RE100' 달성… 2040년 목표
- 현대일렉트릭, 美 GE와 글로벌 '해상풍력사업' 공략 본격화
- 현대일렉트릭, 한전에 '2097억원' 분량 ESS 공급… 창사 이래 '최대 규모'
- LG전자, 경영환경 악화에도 '깜짝 실적' 축포… 영업익만 1조
- HD현대중공업, 해군 신형 호위함정 '충남함' 진수… '작전수행 능력' 대폭 향상
- 정승일 한전 사장, 도미니카공화국 정부 고위인사들 접견
- LS일렉트릭, '하노버 메세 2023' 참가… 차세대 전략 제품 공개
- HD현대일렉트릭, 올 1분기 영업이익 463억원… 전년비 177% 급등
- 주력사업 중심 실적 호조… HD현대, 1분기 매출 전년비 35.2%↑
- HD현대일렉트릭, 미·유럽서 '2900억원대' 전력기기 수주… "창사 이래 최대규모"
- HD현대에너지솔루션, 국내 '전력중개사업' 본격화
- HD현대일렉트릭, 2분기 영업익 '588억원'… 전년비 116% 급증
- HD현대일렉트릭, 전북도·군산시와 3자간 MOU… 해상풍력사업 확대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