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이 탄소배출 관련 다양한 저감 활동 노력을 지속한 결과 최근 10년 사이 꾸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HMM 제공 
HMM이 탄소배출 관련 다양한 저감 활동 노력을 지속한 결과 최근 10년 사이 꾸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HMM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HMM에 ‘친환경경영’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졌다. 실제 회사는 탄소 배출량을 10년 새 절반 미만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HMM이 자체 분석한 결과 컨테이너 1TEU(6미터 길이 컨테이너 1개)를 1km 이동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2010년 기준 68.7그램(g)에서 2021년 29.05g으로 57.7% 감축됐다고 12일 밝혔다.

같은 기간 컨테이너 선복량은 33만7407 TEU에서 75만5209 TEU로 2배 이상 늘었음에도 TEU당 탄소 배출량은 2분의 1 미만으로 줄었다. 최근 탄소배출 저감은 전세계적인 관심사로 해운업계 역시 강력한 환경규제를 통해 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저감에 힘쓰고 있다.

이에 HMM도 그동안 고효율의 초대형선을 도입하고, 저효율 선박 비중을 줄이는 등 선대 에너지 효율을 지속 높여왔다. 기존 선대의 경우 선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 프리미엄 방오도료를 도입했다. 

구상선수(선박의 앞 모양)를 운항선속에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는 등 다양한 효율 개선활동을 진행했으며, 동시에 항로·속도·화물적재를 최적화하는 운항 기술 개선 노력도 병행했다.

특히 2015년에는 에너지 효율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담 테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한 데 이어 2020년 국내 최초로 선박종합상황실을 구축했다. 회사는 선박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실시간으로 선박의 운항 효율을 분석, 개선안을 도출해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여기에 HMM은 글로벌 선사 중 두번째로 ‘2050년 탄소중립’이란 중장기 목표를 선언한 바 있다. 

또 회사는 지난해 7월 중장기 전략에 일환으로 "친환경 선대 경쟁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올해 2월엔 메탄올을 연료로 하는 9000TEU급 친환경 컨테이너선 9척의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HMM 관계자는 “앞으로도 과학적 분석, 데이터 기반 효율 개선 등 온실가스 저감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라며 “미래 경쟁력인 친환경부문을 강화해 글로벌 탑티어 선사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